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произношение
[입듣기]
склонение
입이[이비듣기], 입도[입또듣기], 입만[임만듣기]
Части речи
「명사」 имя существительное

1. рот

음식을 먹고 소리를 내는 기관으로 입술에서 목구멍까지의 부분.

Часть тела от губ до глотки, которая используется для употребления пищи или издавания звуков.

  • 냄새.
  • 이 마르다.
  • 이 크다.
  • 을 다물다.
  • 을 벌리다.
  • 피로가 쌓이면 에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 할아버지는 에 음식을 가득 넣고 우물우물 씹으셨다.
  • 엄마가 숟가락에 음식을 뜨자 아기가 을 크게 벌려 받아먹었다.
  • 가: 스테이크 맛있지?
    나: 응. 에 들어가자마자 살살 녹는다.

Мультимедийные материалы 1

  • 입

2. губы

사람의 입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붉고 부드러운 살.

Нежная и розоватая кожа вокруг рта человека.

  • 이 부르트다.
  • 이 빨갛다.
  • 이 터지다.
  • 이 튀어나오다.
  • 이 트다.
  • 겨울에는 건조해서 이 자주 튼다.
  • 남자 친구는 내 이마에 을 맞추고 버스에 올라탔다.
  • 지수는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을 만지작거리면서 멍하니 앉아 있었다.
  • 가: 너 이 꼭 쥐 잡아 먹은 것 같다.
    나: 내 이 그렇게 빨개?
посмотреть ещё
синоним
입술

Мультимедийные материалы 1

  • 입술

    입술

3. рот; едок

음식을 먹는 사람의 수.

Число людей, употребляющих пищу.

  • 이 늘다.
  • 이 많다.
  • 이 줄다.
  • 을 덜다.
  • 삼촌이 함께 살게 되면서 이 하나 더 늘었다.
  • 우리 집은 이 많아서 엄마가 음식을 많이 하신다.
  • 가: 할머니, 더 드세요.
    나: 됐다. 나라도 을 덜어야지.

4. слова

(비유적으로) 사람이 하는 말.

(перен.) Речь человека.

  • 이 거칠다.
  • 이 걸다.
  • 이 험하다.
  • 을 나불거리다.
  • 으로 가르치다.
  • 유민이는 으로만 떠들고 하는 일이 없는 걸로 유명하다.
  • 우리 누나는 말을 잘해서 도저히 으로는 당해 낼 수가 없다.
  • 가: 욕 좀 하지 마.
    나: 미안. 내 이 좀 걸잖아.

5. раз

한 번에 먹을 만한 음식물의 양을 세는 말.

Счётное слово для объёма еды, который можно съесть за один раз.

  • 두세 먹다.
  • 받아먹다.
  • 베어 물다.
  • 깨물다.
  • 에 털어넣다.
  • 이모는 다이어트를 한다면서 음식을 두세 입 덜어서 천천히 먹었다.
  • 오빠는 간병인이 떠 주는 죽을 서너 받아먹더니 고개를 돌렸다.
  • 가: 나 한 만 주라.
    나: 정말 딱 한 만 먹어야 돼.

ссылка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Отправить мнение

пословицы и поговорки 43

поговорка
입 밖에 내다

Выставлять наружу

속마음이나 비밀을 말하다.

раскрывать секрет или душу.

  • 지수는 싫다고 하고 싶었지만 그 말을 입 밖에 내지 못했다.
  • 가: 이 일에 대해서는 절대로 입 밖에 내서는 안 돼.
    나: 네, 저만 알고 있을게요.
схема
1이 2를 입 밖에 내다
ссылка на схему
'2에 대하여'로도 쓴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다물다

Закрыть рот; замолчать

하던 말을 그치거나 비밀을 지키기 위해 말을 하지 않다.

перестать говорить или ничего не говорить, чтобы сохранить секрет.

  • 이 교수는 학생을 폭행한 사실에 대해서 끝내 입을 다물었다.
  • 가: 너 입 다물어.
    나: 내가 뭘 어쨌다고 말도 못 하게 하고 그래?
схема
1이 입(을) 다물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막다

Заткнуть рот

듣기 싫은 말이나 자기에게 불리한 말을 하지 못하게 하다.

заставить замолчать кого-либо, чтобы он не произнёс что-либо неприятное во всеуслышание или что-либо невыгодное.

  • 언니는 엄마가 아끼는 그릇을 깨더니 내 입을 막으려고 용돈을 줬다.
  • 사장은 회사의 어려운 상황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직원들의 입을 막았다.
схема
1이 2의 입(을) 막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맞추다

1. Сговориться; договориться

여러 사람이 똑같이 말하기로 약속하다.

условиться говорить одно и тоже (о нескольких людях).

  • 오빠와 나는 아버지에게 성적표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입을 맞추기로 했다.
  • 가: 이번 일은 우리가 같이 입을 맞춰야 돼요.
    나: 그래요.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다고 합시다.
схема
1이 (2와) 입(을) 맞추다
ссылка на схему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2. Целовать

키스를 하다.

целоваться.

  • 신랑은 신부에게 가만히 입을 맞추었다.
  • 승규는 우연히 지수가 남자 친구와 입을 맞추는 것을 보았다.
схема
1이 2에게 입(을) 맞추다, 1이 (2와) 입(을) 맞추다
ссылка на схему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모으다

Сговориться; договориться

여러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똑같이 말하다.

Говорить одно и тоже о чём-либо (о нескольких людях).

  • 학생들은 강 교수님의 수업이 가장 재미있고 유익하다고 입을 모았다.
схема
1이 2-고 입(을) 모으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씻다[닦다]

(Досл.) Умыть рот. Умыть руки

혼자서 이익을 챙기고 모른 척하다.

забрать всю прибыль себе и притвориться ничего незнающим.

  • 가: 사장님이 이번 일이 성사되면 보너스를 준다고 했는데 아무 말이 없네.
    나: 꽤 큰돈을 벌었을 텐데 설마 싹 입을 닦지는 않겠지.
схема
1이 입을 입(을) 씻다[닦다]
поговорка
입만 살다

Пустословить; заниматься болтовнёй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말만 잘하다.

только хорошо говорить, но ничего не делать.

  • 가: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돈 많이 벌어서 우리 가족 모두 책임질 거예요.
    나: 입만 살아 가지고 말은 그럴듯하게 하지.
схема
1이 입만 살다
поговорка
입만 아프다

(Досл.) Только язык болит. Как об стенку горох.

아무리 말을 해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다.

говорить с кем-либо, но не быть понятым другой стороной.

  • 가: 여보, 지수 여행 못 가게 얘기 좀 해요.
    나: 말하면 뭐해. 어차피 제 마음대로 할 건데 입만 아프지.
схема
1이 입만 아프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거미줄 치다

(Досл.) Во рту паук паутину сплёл

먹을 것이 없어서 굶다.

голодать из-за отсутствия пищи.

  • 아버지는 생계를 걱정하는 어머니에게 아무리 그래도 입에 거미줄을 치는 법은 없다고 하셨다.
  • 가: 과장님, 회사가 망하면 앞으로 뭐 먹고 살아요?
    나: 뭐 먹고 살긴. 입에 거미줄 치기 전에 뭐라도 일을 찾아야지.
схема
1이 입에 거미줄 치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게거품을[거품을] 물다

Говорить с пеной у рта

몹시 화가 나서 흥분하여 큰 소리로 말하다.

кричать, возбудившись, сильно разозлившись, разгневавшись.

  • 젊은 청년은 어른에게 대든다고 야단을 치는 노인에게 입에 게거품을 물고 대들었다.
схема
1이 입에 게거품을[거품을] 물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1. Не сходить с языка

어떤 말을 자주 사용하거나 계속 반복하다.

постоянно повторять или использовать какие-либо слова, выражения.

  • 우리 언니는 일이 많아서 항상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닌다.
схема
1이 2를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2. Не вынимать изо рта

어떤 음식을 거의 매일 먹다.

употреблять какую-либо пищу практически каждый день.

  • 삼촌은 술을 입에 달고 살더니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 가: 초콜릿 좀 드실래요?
    나: 또 초콜릿이니? 아주 입에 달고 다니는구나.
схема
1이 2를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달라붙다

Пальчики оближешь

음식이 아주 맛있다.

об очень вкусной еде.

  • 아빠는 김치가 입에 달라붙는다면서 밥 한 그릇을 금새 비우셨다.
  • 가: 승규 엄마가 만든 음식 먹어 봤어?
    나: 응, 음식이 아주 입에 짝짝 달라붙는 게 요리 솜씨가 보통이 아니신 것 같아.
схема
1이 입에 달라붙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담다

Высказывать

입 밖에 내어 말을 하다.

говорить.

  • 버스 기사는 술에 취해 시비를 거는 승객과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하며 싸웠다.
  • 가: 김 부장님이 회사 돈을 빼돌리고 있대.
    나: 그런 말은 두 번 다시 입에 담지도 마.
схема
1이 2를 입에 담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대다

Приложиться

음식을 먹거나 마시다.

пить или есть что-либо.

  • 아이는 심한 감기 몸살로 물조차 입에 대지 못했다.
  • 남편은 새해부터 술을 입에 대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다.
схема
1이 2를 입에 대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발린 소리

Ложь, лесть

마음에 없이 거짓으로 하는 말.

слова, не содержащие искренности.

  • 지수는 입에 발린 소리를 하지 않고 솔직하게 자기 생각을 말한다.
  • 가: 나는 세상에서 네가 제일 좋아. 너도 알지?
    나: 입에 발린 소리 좀 그만해.
поговорка
입에 붙다

Стать привычным словом

자주 말하여 습관이 되다.

часто говоря что-либо, доводить это до привычки.

  • 나는 바쁘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나도 모르게 나온다.
  • 지수는 돈이 없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돈이 있어도 없다고 한다.
  • 가: 학교에 다니기 싫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큰일이야.
    나: 그래. 너 하루도 그 말을 안 하는 날이 없는 것 같더라.
схема
1이 2가 입에 붙다
поговорка
(누구) 입에 붙이다

Угощать

다른 사람과 음식을 나누어 먹다.

делиться едой с кем-либо.

  • 가: 치킨 한 마리 사 갈까?
    나: 세 마리는 사야지. 어른이 열 명인데 한 마리 가지고 누구 입에 붙여?
  • 가: 얘들아, 딸기 좀 먹을래?
    나: 너 먹어. 몇 개 안 돼서 입에 붙이고 말고 할 것도 없네.
схема
1이 2를 (누구) 입에 붙이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오르내리다

Быть на слуху

다른 사람들의 이야깃거리가 되다.

становиться предметом чьих-либо обсуждений, слухов.

  • 연예인들의 사생활은 항상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마련이다.
  • 유민이는 독특한 외모와 옷차림으로 매일 친구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схема
1이 2의 입에 오르내리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1. Закрыть рот на замок

말을 하지 않다.

не говорить.

  • 어머니는 아버지의 병에 대해 입에 자물쇠를 채우셨다.
  • 범인은 입에 자물쇠를 채운 것처럼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схема
1이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2. Закрыть рот на замок

어떤 일에 대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하다.

запретить говорить о чём-либо.

  • 교장은 교사들에게 폭행 사건이 소문나지 않게 학생들 입에 자물쇠를 단단히 채우라고 했다.
  • 가: 다른 데 가서 얘기하지 못하게 자네 부인 입에 자물쇠 단단히 채우게.
    나: 걱정하지 마. 내 아내가 말은 많아도 비밀을 잘 지켜.
схема
1이 2의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침이 마르다

(Досл.) Во рту слюна высохла

다른 사람을 칭찬하거나 자랑하기 위하여 말을 많이 하다.

много говорить, гордясь кем-либо, или хваля кого-либо.

  • 선생님들은 지수의 성실함에 대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셨다.
  • 고모는 사촌 오빠가 좋은 회사에 들어가게 됐다고 입에 침이 마르게 자랑을 했다.
  • 가: 정말 우리 딸 같은 효녀가 어디에 또 있겠어요.
    나: 아이구, 딸 자랑하느라고 입에 침이 마르네.
ссылка
주로 '입에 침이 마르게', '입에 침이 마르도록'으로 쓴다.
схема
1이 입에 침이 마르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이 닳다, 입이 마르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поговорка
입에 풀칠하다

(Досл.) Намазать клеем во рту

매우 가난하게 살다.

жить очень бедно.

  • 할머니는 빈 병과 신문을 모아 번 돈으로 겨우 입에 풀칠만 하고 산다.
  • 남편이 벌어 오는 돈이 너무 적어서 애들 교육은 커녕 입에 풀칠하기도 어렵다.
схема
1이 입에 풀칠하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딱 벌리다

Раскрыть рот

매우 놀라워하거나 어이없어 하다.

быть сильно удивлённым или потрясённым.

  • 친구들은 내가 주식으로 일 년만에 10억을 벌었다는 말에 입을 딱 벌렸다.
схема
1이 2에 입을 딱벌리다
поговорка
입을 봉하다

1. Закрыть рот

말을 하지 않다.

не говорить.

  •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꼭 필요한 말만 하고 입을 봉하고 사셨다.
  • 가: 너 그렇게 입을 봉하고 있을 거야?
    나: 아무 말도 하기 싫다고 했잖아.
схема
1이 입을 봉하다

2. Закрыть рот

어떤 일에 대하여 말하지 못하게 하다.

запрещать говорить о чём-либо.

  • 담배를 피우다 들킨 아버지는 내 입을 봉하기 위해 용돈을 주셨다.
  • 가: 아직 결정된 일이 아니니까 직원들의 입을 봉해 주세요.
    나: 네, 어디 가서 함부로 얘기하지 않게 단속하겠습니다.
схема
1이 2의 입을 봉하다
поговорка
입의 혀 같다

Угадывать с полуслова

남의 마음을 매우 잘 헤아려 그대로 해 주다.

очень хорошо понимать кого-либо и выполнять что-либо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этим.

  • 지수는 입의 혀 같이 동아리 선배의 말을 잘 듣는다.
  • 가: 과장님은 너무 김 대리만 좋아하는 거 같지 않아?
    나: 입의 혀 같이 과장님 마음에 쏙 들게 일하는데 당연히 좋아하지.
схема
1이 입의 혀 같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가볍다

Болтливый

말이 많고 비밀을 잘 지키지 않다.

очень много говорить и плохо держать секреты.

  • 입이 가벼운 누나는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얘기를 한다.
  • 가: 너는 입이 너무 가벼워서 큰일이야.
    나: 난 다른 사람들도 다 아는 줄 알고 얘기했지.
схема
1이 입이 가볍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이 무겁다, 입이 싸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간지럽다

Язык чешется

어떤 이야기나 비밀을 몹시 말하고 싶다.

очень сильно желать сказать о чём-либо или раскрыть секрет.

  • 이 대리는 입이 간지러워서 도저히 못 참겠다면서 동료들에게 인사 이동에 대해 얘기해 주었다.
схема
1이 입이 간지럽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걸다

Грубый

말을 거칠고 상스럽게 하다.

говорить грубо и вульгарно.

  • 식당 주인은 욕을 빼고는 말이 되지 않을 만큼 입이 걸었다.
  • 남자는 입이 너무 걸어서 도무지 말 상대를 할 수가 없었다.
схема
1이 입이 걸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다

Улыбаться до ушей

매우 기뻐서 입을 크게 벌리고 웃다.

исыпытывая большую радость, улыбаться широко открыв рот,

  • 동생은 아버지에게 뜻하지 않은 용돈을 받고 입이 귀밑까지 찢어졌다.
  • 가: 나 전교에서 일등해서 엄마한테 컴퓨터 선물 받았다.
    나: 아주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는구나.
схема
1이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달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입맛이 돌고 음식이 맛있다.

Аппетитно употреблять пищу.

  • 할머니는 입이 달다고 하면서 밥을 맛있게 드셨다.
  • 가: 너 요즘 진짜 잘 먹는다.
    나: 입이 달아서 뭘 먹어도 맛있거든.
схема
1이 입이 달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닳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같은 말을 여러 번 되풀이해서 하다.

Повторять несколько раз одни и те же слова.

  • 선생님은 학생의 본분이 공부라고 입이 닳게 강조하셨다.
  • 가: 엄마, 나 감기에 걸린 것 같아.
    나: 그러게 엄마가 옷 따뜻하게 입고 다니라고 입이 닳도록 말을 했잖아.
ссылка
주로 '입이 닳게', '입이 닳도록'으로 쓴다.
схема
1이 입이 닳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에 침이 마르다, 입이 마르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떨어지다

открыть рот

말을 하기 시작하다.

Начать говорить.

  • 일주일 동안 말을 하지 않던 동생이 드디어 입이 떨어졌다.
  • 가: 용의자는 입이 좀 떨어졌어?
    나: 네. 조금 전부터 대답을 하기 시작했어요.
схема
1이 입이 떨어지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말문이 떨어지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마르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같은 말을 여러 번 되풀이해서 하다.

Повторять несколько раз одни и те же слова.

  • 어머니는 의사가 된 오빠 자랑을 하느라 입이 마를 지경이다.
  • 가: 선배님, 보고서 파일이 갑자기 안 열려요.
    나: 그러니까 내가 다른 데에 저장을 해 두라고 입이 마르게 얘기했잖아.
схема
1이 입이 마르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에 침이 마르다, 입이 닳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무겁다

Медлителен на слово

말이 많지 않고 비밀을 잘 지키다.

очень мало говорить и хорошо держать секреты.

  • 김 과장은 입이 무거워서 뭐든 믿고 얘기할 수 있다.
  • 가: 이 얘기는 회사 기밀이니까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게.
    나: 제가 입이 무거우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схема
1이 입이 무겁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이 가볍다, 입이 싸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딱) 벌어지다

Челюсть отвалилась

매우 놀라거나 좋아하다.

быть очень удивлённым или довольным.

  • 지수는 평소에 갖고 싶어 하던 인형을 받고 입이 벌어졌다.
  • 친구들은 내 연봉이 2억이라는 말에 입이 딱 벌어지는 눈치였다.
схема
1이 입이 (딱) 벌어지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심심하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무엇을 먹고 싶거나 말하고 싶다.

Желать что-либо сказать или что-либо съесть.

  • 언니는 입이 심심해서 죽겠다면서 내 방에 들어와 이런저런 얘기를 했다.
  • 가: 우리 오징어 구워 먹자.
    나: 너 또 입이 심심하구나?
схема
1이 입이 심심하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싸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말이 많고 비밀을 잘 지키지 않다.

Очень много говорить и плохо держать секреты.

  • 언니는 입이 싸서 잠시도 참지 못하고 비밀을 다 말해 버린다.
  • 가: 유민이가 다른 애들한테 내 남자 친구 얘기를 해 버렸어.
    나: 걔 원래 입이 싸잖아.
схема
1이 입이 싸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쓰다

1.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어떤 일이나 말이 마음에 안 들어 기분이 좋지 않다.

Испытывать плохое настроение из-за того, что какое-либо дело или речь не пришлись по душе.

  • 노인은 국민들의 생활은 신경 쓰지 않고 다른 나라를 돕겠다는 정부를 보면서 입이 썼다.
  • 가: 능력이 안 되면 포기해야 되는 거 아니야?
    나: 네가 그렇게 말을 하다니 정말 입이 쓰다.
схема
1이 입이 쓰다

2.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몸이 피곤하거나 아파서 입맛이 없거나 맛을 못 느끼다.

Терять аппетит или не чувствовать вкус еды из-за усталости или болезни.

  • 요즘 일이 많아서 그런지 입이 써서 음식을 통 먹지 못한다.
  • 가: 어머니, 죽이라도 좀 드세요.
    나: 입이 써서 먹고 싶지가 않구나.
схема
1이 입이 쓰다
поговорка
입이 짧다

Быть привередливым к еде. Есть как птичка

못 먹거나 싫어하는 음식이 많고 적게 먹다.

не есть вообще или есть мало из-за большого количества нелюбимых продуктов.

  • 지수는 입이 짧아서 밥하고 몇 가지 반찬만 겨우 먹는다.
  • 가: 제가 고기하고 해산물을 잘 못 먹어요.
    나: 그렇게 입이 짧으니까 살이 안 찌지.
схема
1이 입이 짧다
пословица
입에 맞는 떡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마음에 드는 일이나 물건.

Дело или предмет по душе.

  • 가: 이 집은 너무 좁고 이 집은 너무 비싸서 싫어요.
    나: 적당히 골라야지 입에 맞는 떡이 어디에 있어?
  • 가: 일도 재미있고 월급도 많이 주는 회사에 다니고 싶어요.
    나: 그렇게 입에 맞는 떡을 찾기가 쉽지 않을걸.
пословица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Горькое лекарство полезно для здоровья

다른 사람의 충고나 비판이 그 자리에서는 듣기 싫지만 그 뜻을 잘 생각해 보면 도움이 된다는 말.

о том, что иногда не хочется слушать чьи-либо советы или критику, но если задуматься об этом ещё раз, то на самом деле они оказывают большую помощь.

  • 가: 어른들은 왜 만날 듣기 싫게 잔소리를 하는 거야?
    나: 입에 쓴 약이 몸에 좋은 법이야. 그게 지금은 잔소리로 들려도 다 너 위해서 하는 말이야.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쓴 약이 몸에도 좋다
пословица
입에서 신물이 난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무엇이 몹시 싫고 지겹다.

Очень не любить что-либо или быть утомлённым чем-либо.

  • 아버지는 일찍 다니라는 말을 입에서 신물이 나도록 하셨다.
  • 가: 자장면 시켜 먹을까?
    나: 매일 먹었더니 이제 듣기만 해도 입에서 신물이 난다.
слово по ссылке
이에 신물이 돈다[난다]
пословица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해라[하랬다]

(нет эквивалента)

어떤 상황에서든지 솔직한 생각이나 사실을 말해야 한다는 말.

О том, что какая бы не была ситуация, нужно говорить правду или действительно то, что думаешь.

  • 가: 네가 내 책 가져갔잖아?
    나: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하랬다고 그 책은 네가 빌려준 거지 내가 가져갔니?
пословица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Досл.) Хотя и десять ртов, нечего сказать

잘못이 분명하게 밝혀져서 변명도 할 수 없다.

Не иметь никакой возможности оправдаться, так как нет сомнений в чьей-либо вине.

  • 바람을 피우다 들킨 김 대리는 아내에게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었다.
  • 가: 어떻게 된 일이야? 뭐라고 변명이라도 좀 해 봐.
    나: 정말 죄송합니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