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받아들이다
발음
[바다드리다듣기]
활용
받아들이어[바다드리어듣기/바다드리여듣기](받아들여[바다드려듣기]), 받아들이니[바다드리니듣기]
품사
「동사」

1. 사람들에게서 돈이나 물건 등을 거두어 받다.

  • 곡식을 받아들이다.
  • 기부금을 받아들이다.
  • 물품을 받아들이다.
  • 성금을 받아들이다.
  • 세금을 받아들이다.
  • 꽃은 식물이 물과 햇빛, 영양분을 받아들여 피운 것이다.
  • 우리는 학생들로부터 받아들인 성금을 양로원에 전달했다.
  • 그들은 결혼식에서 하객들에게 축의금 대신 쌀을 받아들여 기부하기로 했다.
  • 가: 직원들에게서 받아들인 기부금이 꽤 되네요.
    나: 그러면 축구단을 충분히 창단할 수 있겠군요.
문형
1이 2에서/에게서/로부터 3을 받아들이다

2. 다른 문화나 문물을 막지 않고 들어오게 하여 자기 것이 되게 하다.

  • 기술을 받아들이다.
  • 문명을 받아들이다.
  • 연구를 받아들이다.
  • 유행을 받아들이다.
  • 제도를 받아들이다.
  • 여기에 적용되는 이론은 서구로부터 받아들인 것이다.
  • 우리는 세계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외국의 다양한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되었다.
  • 가: 새로 짓는 저 건물 정말 외관이 멋지다!
    나: 외국에서 받아들인 건축 양식을 응용한 거래.
더 보기
문형
1이 2에서/에게서/로부터 3을 받아들이다

3. 요구나 부탁 등을 들어주다.

  • 간청을 받아들이다.
  • 권고를 받아들이다.
  • 권유를 받아들이다.
  • 성의를 받아들이다.
  • 신청을 받아들이다.
  • 지수는 유민이의 사과를 받아들이고 화를 풀었다.
  • 그들은 고조되었던 감정을 억제하고 협상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 학교는 학생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교육 환경 개선에 힘쓰기로 했다.
  • 가: 지난번에 저희쪽에서 제안했던 일은 생각해 보셨는지요?
    나: 네, 그 제안을 받아들이도록 하겠습니다.
더 보기
문형
1이 2를 받아들이다

4. 어떤 조직이나 단체 등의 구성원으로 들어오게 하다.

  • 신입생을 받아들이다.
  • 며느리로 받아들이다.
  • 사위로 받아들이다.
  • 신입 사원으로 받아들이다.
  • 신입 회원으로 받아들이다.
  • 이 동아리는 신입 회원을 받아들이는 과정이 복잡하다.
  • 교수들은 회의 끝에 이 학생을 편입생으로 받아들이기로 했다.
  • 우리 아빠는 그 사람이 마음에 들었는지 당장이라도 그를 사위로 받아들일 기세다.
  • 가: 시부모님께서는 이제 네게 마음을 여신 것 같아?
    나: 아직은 나를 가족의 한 사람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느낌이야.
문형
1이 2를 받아들이다, 1이 2를 3으로 받아들이다

5. 어떤 사실, 상태 등을 인정하거나 이해하고 수용하다.

  • 아픔을 받아들이다.
  • 현실을 받아들이다.
  •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다.
  • 사실로 받아들이다.
  • 그대로 받아들이다.
  • 우리는 이번 사건을 교훈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 그녀는 그가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 지수는 민준이가 이번 시험에서 또 일등을 한 것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 가: 아직도 지연이가 우리 곁에 없다는 게 믿기지 않아.
    나: 많이 힘들겠지만 이제는 지연이가 떠났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자.
더 보기
문형
1이 2를 받아들이다, 1이 2를 3으로 받아들이다

6. 의견이나 비판 등을 찬성하고 따르다.

  • 가르침을 받아들이다.
  • 뜻을 받아들이다.
  • 비판을 받아들이다.
  • 지적을 받아들이다.
  • 충고를 받아들이다.
  • 저는 선생님의 조언을 기꺼이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 우리는 전문가의 지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개선하도록 했다.
  • 민준이는 자신의 발표에 대한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폭넓게 받아들였다.
  • 가: 나한테 자꾸 충고하려 들지 마.
    나: 사람이 충고를 하면 받아들일 줄도 알아야지.
더 보기
문형
1이 2를 받아들이다

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