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고개1
발음
[고개듣기]
품사
「명사」

목을 포함한 머리 부분.

  • 고개가 뻣뻣하다.
  • 고개가 아프다.
  • 고개를 갸우뚱하다.
  • 고개를 돌리다.
  • 고개를 들다.
  • 한 시간 넘게 하늘을 올려다봤더니 고개가 뻐근하게 아파 왔다.
  • 아이는 선생님의 꾸지람을 듣고 고개를 푹 숙이고 눈물만 흘리고 있었다.
  • 사람들은 창밖으로 고개를 내밀고 밖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구경하고 있었다.
  • 가: 너 고개 좀 들어 봐. 어디서 이렇게 상처가 났니?
    나: 아까 놀다가 다쳤어요.
더 보기

다중 매체 정보 1

  • 고개

    고개

의견 보내기

관용구·속담 11

관용구
고개 하나 까딱하지 않다

조금의 망설임이나 흔들림이 없다.

  • 그는 살려 달라는 말에도 고개 하나 까딱하지 않고 사람들을 잔인하게 죽였다.
  • 승규는 이미 마음을 굳게 먹었는지 주위에서 아무리 말려도 고개 하나 까딱하지 않았다.
문형
1이 고개 하나 까딱하지 않다
관용구
고개가 수그러지다

존경하는 마음이 생기다.

  • 그가 사람들에게 보여준 희생정신은 저절로 고개가 수그러지게 만든다.
  • 그 상황에서도 침착함을 잃지 않은 선생님의 모습에 학생들은 절로 고개가 수그러졌다.
문형
1이 고개가 수그러지다
참고어
머리가 수그러지다
관용구
고개를 (가로) 흔들다

고개를 좌우로 움직여 부정이나 거절의 뜻을 나타내다.

  • 어서 일어나라는 어머니의 말에 승규는 고개를 가로 흔들며 이불 속으로 숨었다.
  • 사람들이 그를 범인으로 지목하자 그는 자기가 한 일이 아니라며 세차게 고개를 흔들었다.
문형
1이 고개를 (가로) 흔들다
관용구
고개를 갸웃거리다

무엇을 의심스러워하거나 잘 몰라서 궁금해 하다.

  • 승규는 수업을 듣고도 잘 이해가 되지 않는지 계속해서 고개를 갸웃거렸다.
  • 선생님은 무슨 말인지 몰라 고개를 갸웃거리는 아이들에게 다시 한 번 잘 설명해 주고 있었다.
문형
1이 고개를 갸웃거리다
참고어
고개를 갸웃하다
관용구
고개를 갸웃하다

무엇을 의심스러워하거나 잘 몰라서 궁금해 하다.

  • 지수는 고개를 갸웃하며 승규에게 자세하게 다시 설명해 달라고 부탁했다.
  • 실험을 마친 그는 어떻게 해서 이런 실험 결과가 나왔는지 몰라 고개를 갸웃했다.
문형
1이 고개를 갸웃하다
참고어
고개를 갸웃거리다
관용구
고개를 끄덕이다

고개를 위아래로 흔들어 긍정하거나 좋다는 뜻을 나타내다.

  • 이제 몸은 좀 괜찮으냐는 질문에 그는 아무 말 없이 조용히 고개만 끄덕였다.
  • 내 설명이 끝나자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며 그 방법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문형
1이 고개를 끄덕이다
관용구
고개를 돌리다

어떠한 것을 외면하거나 보고도 못 본 척하다.

  • 지수는 아버지의 말을 애써 못 들은 척하며 고개를 돌려 버렸다.
  • 승규는 친구들에게 도움을 청했지만 친구들은 그에게서 고개를 돌렸다.
  • 그는 길거리에 쓰러져 있는 사람을 보았지만 고개를 돌리고 집으로 가 버렸다.
문형
1이 고개를 돌리다
관용구
고개를 숙이다

1. 자존심을 버리고 누군가에게 항복하거나 굴복하다.

  • 우리는 자존심은 상했지만 살아남기 위해 그들에게 고개를 숙이고 있었다.
  • 그들은 목숨을 버리는 한이 있어도 적들에게 고개를 숙이지 않으려고 하였다.
  • 끝까지 반항할 것 같았던 승규는 선생님의 말 한 마디에 순순히 고개를 숙였다.
문형
1이 2에/에게 고개를 숙이다

2. 존경하는 마음을 가지다.

  • 삼일절을 맞아 우리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희생한 분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 그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면 그 누구도 고개를 숙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문형
1이 2에/에게 고개를 숙이다
관용구
고개를 내밀다

1. 어떠한 사건, 현상, 감정 등이 나타나거나 생기다.

  • 경찰들의 단속이 약해지자 각종 범죄들이 다시 고개를 내밀기 시작했다.
  • 날씨가 따뜻해지고 봄이 오자 꽃들이 고개를 내밀고 활짝 피어나고 있었다.
  • 다행히 이번에는 문제가 잘 해결되었지만 근본적 대책이 없으면 이 문제가 언제 다시 고개를 내밀지 모른다.
문형
1이 고개를 내밀다
참고어
고개를 들다, 고개를 쳐들다

2. 모임 등에 잠시 참석하다.

  • 그는 오늘 모임에서도 고개만 내밀고는 급한 약속이 있다며 자리를 떴다.
  • 가: 내일 동창회는 다른 약속이 있어서 못 갈지도 몰라.
    나: 에이, 나는 너 보려고 가는데 그러지 말고 잠시 고개라도 내밀어.
문형
1이 고개를 내밀다
참고어
머리(를) 내밀다, 얼굴을 내밀다[내놓다/비치다]
관용구
고개를 들다

1. 남을 떳떳하고 당당하게 대하다.

  • 너는 뭐 잘 한 게 있다고 그렇게 고개를 빳빳이 들고 있어?
  • 그 앞에 선 나는 너무나 미안한 마음에 도무지 고개를 들 수가 없었다.
  • 내가 너 때문에 창피해서 선생님 앞에서 고개를 들고 있을 수가 없더라.
  • 아마도 그는 부끄러워서 사람들 앞에서 고개를 들고 다닐 수가 없을 것이다.
문형
1이 고개를 들다
참고어
낯(을) 들다, 얼굴을 들다

2. 어떠한 사건, 현상, 감정 등이 나타나거나 생기다.

  • 한동안 잠잠했던 사회 문제가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 최근 직원들 사이에서 근무 환경에 대한 불만이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었다.
문형
1이 고개를 들다
참고어
고개를 내밀다, 고개를 쳐들다
관용구
고개를 쳐들다

1. 자신감 있게 당당하게 행동하다.

  • 그들은 빳빳이 고개를 쳐들고 자신들은 잘못이 없다며 계속해서 우겨댔다.
  • 승규는 수학 문제를 간단하게 풀어내고는 보란 듯이 고개를 쳐들고 자신의 자리로 돌아왔다.
문형
1이 고개를 쳐들다

2. 어떠한 사건, 현상, 감정 등이 나타나거나 생기다.

  • 상사에게 욕을 들으면 그는 일을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부터 고개를 쳐들었다.
  • 잠자리에 든 나는 내일 해야 할 일에 대한 걱정이 고개를 쳐들어 잠을 이루지 못했다.
문형
1이 고개를 쳐들다
참고어
고개를 내밀다, 고개를 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