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따다
발음
[따다듣기]
활용
따는[따는듣기], 따[따듣기], 따니[따니듣기], 땁니다[땀니다]
품사
「동사」

1. 달려 있거나 붙어 있는 것을 잡아서 뜯거나 떼다.

  • 꽃을 따다.
  • 별을 따다.
  • 사과를 따다.
  • 열매를 따다.
  • 잎을 따다.
  • 나는 딸기가 먹고 싶어 밭에서 딸기를 왔다.
  • 아이는 감나무에서 감을 따려고 했지만 손이 잘 닿지를 않았다.
  • 가: 복숭아가 다 굉장히 달고 맛있어요.
    나: 잘 익은 것만 골라서 거거든.
문형
1이 2에서 3을 따다

다중 매체 정보 1

2. 말이나 글 등에서 한 부분을 끌어다 쓰다.

  • 글을 오다.
  • 앞 글자를 따다.
  • 요점을 따다.
  • 한 구절을 따다.
  • 글에서 일부를 따다.
  • 너무 긴 용어의 경우 보통 앞의 알파벳만 약어를 만든다.
  • 그는 남의 책의 일부를 와서 조합하는 형식으로 표절을 했다.
  • 가: 정자 이름이 특이하네요.
    나: 네. 제가 좋아하는 시의 한 구절을 따서 지은 거예요.
문형
1이 2에서 3을 따다

3. 내기나 경기, 도박 등에서 이겨 돈이나 상품을 얻다.

  • 상금을 따다.
  • 상품을 따다.
  • 천 원을 따다.
  • 경기에서 메달을 따다.
  • 노름에서 돈을 따다.
  • 그는 카지노에서 엄청난 돈을 땄다.
  • 우리 대표팀은 올림픽에 출전해 많은 금메달을 왔다.
  • 가: 민준이가 골프 대회에서 또 우승했다고 하더라.
    나: 응. 올해 상금만 해도 오억 원이 넘어.
문형
1이 2에서/에게서 3을 따다

4. 꽉 닫혀 있는 것을 열다.

  • 깡통을 따다.
  • 문을 따다.
  • 병을 따다.
  • 병뚜껑을 따다.
  • 자물쇠를 따다.
  • 승규는 열쇠로 자물쇠를 따고 방문을 열었다.
  • 귀한 손님이 오셔서 나는 아끼고 아끼던 양주를 땄다.
  • 가: 지수야, 너 가서 시원한 맥주 한 병 가지고 와라.
    나: 맥주 말고 다른 건 필요 없으세요?
문형
1이 2를 따다

다중 매체 정보 1

5. 자격이나 점수를 얻거나 받다.

  • 면허를 따다.
  • 자격증을 따다.
  • 점수를 따다.
  • 학위를 따다.
  • 학점을 따다.
  • 그는 미국으로 유학을 가 그 곳에서 학위를 왔다.
  • 나는 다섯 번이나 시험에서 떨어진 뒤 여섯 번 만에 겨우 운전 면허증을 땄다.
  • 가: 이게 웬 선물이에요?
    나: 당신이 요새 나한테 화가 나 있는 것 같아서 점수 좀 따려고 샀지.
문형
1이 2를 따다

6. 이름이나 뜻을 빌리다.

  • 뜻을 따다.
  • 의미를 따다.
  • 이름을 따다.
  • 우리 유치원은 꽃의 이름을 따서 반 이름을 정했다.
  • 새로 발견된 별은 보통 그 별을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짓는다.
  • 가: 딸 이름은 정했어?
    나: 응. 나랑 남편 이름을 한 글자씩 따서 지을 거야.
문형
1이 2를 따다

의견 보내기

관용구·속담 1

속담
따 놓은 당상

어떤 일이 확실해서 계획된 대로 틀림없이 진행될 것임을 뜻하는 말.

  • 가: 지수가 시험에 불합격하면 어떡하죠?
    나: 걱정하지 마. 그렇게 높은 점수를 받았는데 합격은 따 놓은 당상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