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떼다
発音
[떼ː다듣기]
活用形
떼는[떼ː는], 떼어[떼ː어](떼[떼ː듣기]), 떼니[떼ː니듣기], 뗍니다[뗌ː니다]
品詞
「동사」 動詞

1. はなす【離す】。はがす【剥がす】。とりはずす【取り外す】

붙어 있거나 이어져 있는 것을 떨어지게 하다.

くっついたり、つながっているものを離す。

  • 혹을 떼다.
  • 귀에서 손을 떼다.
  • 문에서 문짝을 떼다.
  • 벽에서 벽보를 떼다.
  • 술잔에서 입을 떼다.
  • 아이는 스티커를 벽에 붙였다 떼었다 하면서 장난을 쳤다.
  • 나는 벽에 붙어 있던 거울을 떼어서 다른 곳으로 옮겼다.
  • 가: 이거 새 옷인데 여기 찢어져 있네. 어떻게 된 거야?
    나: 내가 상표를 떼어 내다가 그렇게 됐어.
もっと見る
文型
1이 2에서 3을 떼다

マルチメディア 1

2. さしひく【差し引く】。てんびきする【天引きする】。とっておく【取っておく】

전체에서 한 부분을 덜어 내다.

全体から一部分を引く。

  • 예산에서 일부를 떼다.
  • 월급에서 보험료를 떼다.
  • 나는 용돈에서 조금씩 떼어 비상금을 만들었다.
  • 우리 회사는 이미 책정된 예산의 일부를 떼어서 새로운 사업에 투자해 왔다.
  • 가: 월급이 생각보다 너무 적어.
    나: 여러 가지 세금을 월급에서 떼어 가잖아.
文型
1이 2에서 3을 떼다

3. はずす【外す】。きる【切る】

어떤 것에서 마음이 돌아서다.

ある対象から心が離れる。

  • 관심을 떼다.
  • 정을 떼다.
  • 그가 너무 미워서 정을 떼고 싶지만 잘 떨어지지를 않는다.
  • 좋아하던 사람, 익숙한 사람과 정을 떼는 것은 정말 어렵다.
  • 가: 너 민준이한테 왜 그렇게 차갑게 대해?
    나: 민준이 너무 예의 없지 않아? 나 쟤한테 완전히 정을 뗐어.
文型
1이 2에서/에게서 3을 떼다

4. そらす

지켜보던 눈길을 거두다.

視線を他へ向ける。

  • 눈을 수 없다.
  • 눈길을 떼지 못하다.
  • 눈을 떼다.
  • 눈길을 떼다.
  • 시선을 떼다.
  • 그녀는 시선을 떼지 못할 정도로 아름다웠다.
  • 그는 지수에게서 눈길을 떼지 않고 한참을 바라보았다.
  • 가: 오늘 본 영화 너무 좋았지?
    나: 응. 마지막 장면까지 눈을 수가 없더라.
文型
1이 2에서/에게서 3을 떼다

5. しいれる【仕入れる】。かいいれる【買い入れる】

장사를 하려고 한꺼번에 많은 물건을 사다.

商売をするために一度に大量にものを買う。

  • 물건을 떼어 오다.
  • 물건을 떼어다가 팔다.
  • 도매로 떼다.
  • 물건을 떼다.
  • 그는 동대문의 도매업자에게서 물건을 떼어 와서 팔고 있다.
  • 그는 직접 시골에 가서 배추를 떼어 도매상에 넘겨주는 일을 했다.
  • 가: 요새 승규가 외국에 나가는 일이 잦네.
    나: 승규가 요즘 외국에서 물건을 떼다가 장사하잖아. 몰랐어?
文型
1이 2에서/에게서 3을 떼다

6. はなす【離す】。のこす【残す】

함께 있던 것을 홀로 남겨 놓다.

一緒にいた対象を独りにしておく。

  • 떼어 놓다.
  • 강아지를 떼다.
  • 자식을 떼다.
  • 친구를 떼다.
  • 그에게서 악기와 음악은 떼어 놓을 수 없는 존재이다.
  • 그녀는 아침마다 울고 보채는 아이를 떼어 놓고 출근하느라 고생이었다.
  • 가: 저 둘은 정말 잘 어울려!
    나: 떼어 놓으려고 해도 떼어 놓을 수 없는 인연 같은 거지.
文型
1이 2를 떼다

7. あるきだす【歩き出す】。あるきはじめる【歩き始める】

걸음을 옮기어 놓다.

歩を運ぶ。

  • 걸음을 떼다.
  • 발을 떼다.
  • 발걸음을 떼다.
  • 발길을 떼다.
  • 비틀거리던 그는 서너 걸음도 못 떼고 쓰러져 버렸다.
  • 아름다운 풍경에 길 가던 사람들은 모두 발길을 떼지 못했다.
  • 가: 우리 아들은 10개월인데 아직도 못 걸어서 걱정이에요.
    나: 걱정하지 마. 우리 아들도 돌 지나서 첫 걸음을 뗐잖아.
文型
1이 2를 떼다

8. いいだす【言い出す】。いいはじめる【言い始める】

말을 시작하다.

言葉を発し始める。

  • 말문을 떼다.
  • 서두를 떼다.
  • 운을 떼다.
  • 입을 떼다.
  • 그가 “처음 뵙겠습니다.”라고 말문을 뗐다.
  • 그는 한참이나 뜸을 들인 후 겨우 입을 뗐다.
  •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물어본다면 나는 쉽게 운을 떼지 못할 것 같다.
文型
1이 2를 떼다

9. おろす【堕ろす】

아기를 유산시키다.

胎児を堕胎する。

  • 아이를 떼다.
  • 부모님은 애를 떼라고 하시지만 나는 꼭 낳을 거야.
  • 아이를 떼는 일은 생명과 관련된 일이기 때문에 신중히 생각해야 한다.
  • 가: 엄마의 건강에 위협이 된다고 하니 아이를 떼는 게 좋겠어요.
    나: 안 돼요. 그렇게 쉽게 아기를 포기할 수는 없어요.
文型
1이 2를 떼다

10. マスターする

배우던 것을 끝내다.

学び終える。

  • 교과서를 떼다.
  • 책 한 권을 떼다.
  • 천자문을 떼다.
  • 초급을 떼다.
  • 한글을 떼다.
  • 유민이는 만 네 살도 되지 않았는데 벌써 한글을 뗐다.
  • 그는 세 살 때 천자문을 떼어 영재 소리를 들었다.
  • 가: 선생님. 수업 진도를 왜 이렇게 빨리 나가세요?
    나: 빨리 2학년 교과서를 떼고 3학년 내용을 나가려고.
文型
1이 2를 떼다

11. はっこうする【発行する】

수표나 어음, 증명서 등의 문서를 만들어 주거나 받다.

小切手・手形・証明書などの文書を発行する、または発行してもらう。

  • 수표를 떼다.
  • 영수증을 떼다.
  • 전표를 떼다.
  • 주민 등록 등본을 떼다.
  • 증명서를 떼다.
  • 어제 주문한 물건에 대한 영수증 좀 떼어 주세요.
  • 요즘에는 인터넷으로도 주민 등록 등본을 수 있다.
  • 가: 부모님을 제 건강 보험에 올리고 싶은데 뭐가 필요하죠?
    나: 일단 가족 관계 증명서를 떼어 오세요.
もっと見る
文型
1이 2를 떼다

12. たつ【断つ】

성장 초기 단계에서 일상적으로 하던 일을 그치다.

成長の初期段階で日常的にやっていたことをやめる。

  • 분유를 떼다.
  • 이유식을 떼다.
  • 젖을 떼다.
  • 젖병을 떼다.
  • 우리 아이도 이제 젖을 떼고 이유식을 먹을 때가 되었다.
  • 그녀는 직장에 다시 나가야 해서 젖을 떼고 아이에게 분유를 먹이기로 했다.
  • 아기가 젖병을 떼면서 자연스럽게 분유도 떼었다.
  • 빨대 달린 컵을 사 줬더니 젖병을 바로 떼었다.
  • 가: 돌도 지났는데 아직도 젖을 먹는구나.
    나: 응. 우리 지수가 빨리 젖을 떼어야 할 텐데 걱정이야.
  • 가: 어머, 승규 벌써 밥을 먹어?
    나: 응, 이유식 지 몇 주 됐어.
文型
1이 2를 떼다

ご意見・お問い合わせ

慣用句・ことわざ 1

ことわざ
떼어 놓은 당상

取っておいた堂上(官位)。~も同然。確実で間違いない

어떤 일이 확실해서 계획된 대로 틀림없이 진행될 것임을 뜻하는 말.

ある事が確実に計画通り、間違いなく進むことを意味する表現。

  • 가: 우리 팀이 꼭 승리해야 할 텐데!
    나: 걱정하지 마. 벌써 삼 대 일인데 승리는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参考語
따 놓은 당상
表示方法の選択
検索した単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