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
1.
앞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
An ending of a word that makes the preceding statement function as an adnominal phrase and indicates an event or action having occurred in the past.
- 어제 본 영화는 정말 감동적이었다.
- 어릴 적 선생님께서 해 주신 말씀이 내 인생을 바꾸어 놓았다.
- 이 스웨터는 내가 털실로 직접 짠 것이다.
-
가: 이 옷은 처음 보는데 새로 샀니?
나: 아니. 작년에 산 건데 아껴서 가끔씩만 입었거든.
Reference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ㄹ, -는2, -던2, -은1, -을
2.
-n
2.
앞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An ending of a word that makes the preceding statement function as an adnominal phrase and indicates that an event or action has been completed and its state continues.
- 밤새 쌓인 눈 때문에 길이 막혔다.
- 안경을 쓴 아이가 손을 들고 질문을 했다.
- 전화벨이 울리자 어머니는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전화를 받으셨다.
- 나는 남편과 결혼한 지가 벌써 십 년이 되었다.
-
가: 우리가 내릴 정류장이 이미 지난 것 아닌가요?
나: 맞아요. 우리가 탄 버스가 방금 정류장을 지나쳐 버렸어요.
Reference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ㄹ, -는2, -던2, -은1, -을
3.
-n
3.
앞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An ending of a word that makes the preceding statement function as an adnominal phrase and refers to the present state.
- 지수는 미소가 예쁜 소녀였다.
- 나는 선생님이신 부모님 밑에서 자랐다.
- 승규는 큰 키에 출중한 외모를 가졌다.
- 민준이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려고 항상 노력한다.
-
가: 너 눈이 왜 이렇게 부었어?
나: 어제 슬픈 영화를 보다가 잤거든. 너무 슬퍼서 잠자리에 누워서도 계속 울었어.
Reference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ㄹ, -는2, -던2, -은1, -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