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ot-
1.
사건이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
An ending of a word used to indicate that an event happened in the past.
- 지수는 어렸을 때부터 참 예뻤다.
- 하루 종일 걸었더니 무척 피곤하다.
- 어제 술을 너무 많이 마셨는지 머리가 아프다.
-
가: 어제 본 영화는 재미있었어?
나: 여자 주인공이 죽어서 너무 슬펐어.
Reference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았-, -였-
2.
-eot-
2.
어떤 사건이 과거에 완료되었거나 그 사건의 결과가 현재까지 지속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어미.
An ending of a word used to indicate that an event was completed in the past or its result continues in the present.
- 작년 봄에 벚꽃이 활짝 피었다.
- 나는 뜨거운 햇살을 피하기 위해 모자를 썼다.
- 지수는 방을 너무 어질렀다고 아버지께 꾸중을 들었다.
-
가: 엄마, 여기 있던 제 책을 못 보셨어요?
나: 그 책은 내가 아까 네 책상 위에 가져다 뒀다.
Reference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았-, -였-
3.
-eot-
3.
미래의 일을 그럴 것이라고 단정하여 말할 때 쓰는 어미.
A ending of a word used to assertively state that the future event will be like that.
- 벌써 두 번째 홍수야. 올해 농사는 다 지었군.
- 이렇게 열심히 공부하는 걸 보니 이번엔 시험에 붙었네, 붙었어.
- 그렇게 매일 놀기만 하니 너는 틀림없이 시험에 떨어졌어.
-
가: 어떡해. 숙제를 까먹고 안 했어.
나: 선생님 오시면 넌 이제 죽었다.
Reference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여 쓴다.
-
Reference Word
-
-았-, -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