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quare bracket
1.
언어에서, 괄호 안에 또 괄호를 쓸 때 바깥쪽의 괄호 대신 쓰거나, 고유어에 대응하는 한자어를 함께 보이거나, 원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이나 논평 등을 덧붙일 때 쓰는 문장 부호.
In a language, a punctuation mark used in the place of the outer parentheses when inserting in another pair of parentheses in parentheses, or when displaying the Chinese characters that correspond to a native word, or when adding explanation, comment, etc., to help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 대괄호가 들어가다.
- 대괄호를 넣다.
- 대괄호를 치다.
- 대괄호로 묶다.
- 대괄호에 적다.
- 단어의 발음 기호는 문장 부호 중 대괄호 안에 적는다.
- ‘학교’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을 때에는 대괄호를 쳐서 ‘[학꾜]’라고 쓴다.
-
가: 나는 소리 나는 대로 잘 적은 것 같은데 뭐가 잘못된 거지?
나: 발음을 쓸 때는 대괄호에 적어야 되는데 그걸 깜빡했나 보네.
2.
square bracket
2.
수학에서, 어떤 식의 계산을 가장 나중에 할 것을 나타내는 부호.
In math, a sign used to show that a certain expression will be calculated later.
- 대괄호 계산.
- 대괄호 문제.
- 대괄호 밖.
- 대괄호 식.
- 대괄호 안.
- 대괄호와 소괄호.
- 승규는 곱셈 문제에서 대괄호 식을 먼저 계산하는 바람에 답을 틀렸다.
- 수학 문제를 풀 때에는 소괄호와 중괄호, 대괄호의 순서로 식을 계산한다.
-
가: 대괄호 계산 문제가 항상 헷갈려.
나: 어떤 순서대로 계산해야 하는지만 외워 두면 별로 어렵지 않아.
Se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