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꾸역꾸역
Pronunciation
[꾸역꾸역듣기]
Derivative
꾸역꾸역하다
Part of Speech
「부사」 Adverb

1. with one's mouth stuffed

입속에 음식을 억지로 넣거나 가득 넣고 먹는 모양.

In the manner of stuffing food into one's mouth or chewing with one's mouth full.

  • 꾸역꾸역 마시다.
  • 꾸역꾸역 먹다.
  • 꾸역꾸역 삼키다.
  • 꾸역꾸역 씹다.
  • 꾸역꾸역 입에 넣다.
  • 배가 부른데도 음식이 아까워 꾸역꾸역 먹다 보면 살찌기 쉽다.
  • 지수는 울음을 참기 위해 억지로 입속에 음식을 꾸역꾸역 집어넣었다.
  • 가: 유민아, 배부르면 꾸역꾸역 씹지 말고 그만 먹어.
    나: 아니에요. 아직 더 먹을 수 있어요.

2. in droves; in a stream

한군데로 많은 사람이나 사물이 몰려가거나 몰려나오는 모양.

In the manner of a lot of people or things swarming into or out of a place.

  • 꾸역꾸역 기어들다.
  • 꾸역꾸역 몰려들다.
  • 꾸역꾸역 밀려 나오다.
  • 꾸역꾸역 새어 나오다.
  • 꾸역꾸역 쏟아져 나오다.
  • 많은 사람들이 농촌을 떠나 도시로 꾸역꾸역 몰려들었다.
  • 가: 지금 막 공연장에서 공연이 끝났나 봐.
    나: 그러게. 사람들이 꾸역꾸역 거리로 쏟아져 나오고 있군.

3. unwillingly

어떤 것을 억지로 하는 모양.

In the manner of doing something against one's will.

  • 꾸역꾸역 먹다.
  • 꾸역꾸역 계속 설명하다.
  • 꾸역꾸역 글을 쓰다.
  • 꾸역꾸역 길을 가다.
  • 꾸역꾸역 머릿속에 넣다.
  • 아이는 채소를 꾸역꾸역 먹었다.
  • 승규는 부모님의 등쌀에 못 이겨 꾸역꾸역 선을 보러 갔다.
  • 그는 문장이 막히더라도 멈추지 않고 꾸역꾸역 글을 써 나갔다.
  • 가: 표정이 왜 그래요? 무슨 일 있어요?
    나: 아이가 피곤한데도 꾸역꾸역 일어나서 아침 일찍 학교에 가는 모습이 안타까워서요.

4. (no equivalent expression)

어떤 마음이 자꾸 생기거나 치미는 모양.

In the state of feeling a surge of a certain sentiment again and again.

  • 꾸역꾸역 분노가 치밀다.
  • 꾸역꾸역 슬픔이 올라오다.
  • 꾸역꾸역 욕심이 생기다.
  • 꾸역꾸역 화가 솟다.
  • 자꾸만 분수에 맞지 않는 욕심이 꾸역꾸역 생겼다.
  • 꾸역꾸역 올라오는 슬픔을 참으려 애썼지만, 눈물이 흐르는 것은 막을 수 없었다.
  • 가: 그렇게 꾸역꾸역 올라오는 화를 참지 말고 차라리 소리를 질러.
    나: 괜찮아. 시간이 지나면 나아질 거야.

Send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