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겹다
Pronunciation
[겹ː따듣기]
Application
겨운[겨ː운듣기], 겨워[겨ː워듣기], 겨우니[겨ː우니듣기], 겹습니다[겹ː씀니다듣기]
Part of Speech
「형용사」 Adjective

1. too much for; unmanageable

정도가 지나쳐서 참거나 견뎌 내기가 어렵다.

The degree of something being overly high, so that one is unable to bear it.

  • 고통에 겹다.
  • 더위에 겹다.
  • 피곤에 겹다.
  • 나이에 겹다.
  • 분에 겹다.
  • 늙은 어부는 힘에 겨워 끌어 올리던 그물질을 잠시 멈추었다.
  • 어머니는 네가 호강에 겨워 불평을 하는 것이라며 반찬 투정을 하는 아이를 나무랐다.
  • 가: 승규가 분에 겨워서 씩씩거리던데 무슨 일이야?
    나: 승규가 제일 아끼는 꽃병을 누가 깨뜨렸나 봐.
Sentence
1이 2에 겹다

2. too emotional

거세게 일어나는 어떤 감정이나 정서에 깊이 빠지다.

Falling deeply into a wild emotion or mood.

  • 감동에 겹다.
  • 흥에 겹다.
  • 감격에 겹다.
  • 걱정에 겹다.
  • 행복에 겹다.
  • 우승이 확정되자 선수들은 감격에 겨워 눈물을 흘렸다.
  • 선생님은 오랜만에 찾아온 제자들을 반가움에 겨운 목소리로 맞이하셨다.
  • 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가 많이 힘들어하신다고 들었어요.
    나: 네, 슬픔에 겨워서 식사도 제대로 못 하세요.
Sentence
1이 2에 겹다

3. too late

철이나 때가 한참 지나서 늦다.

Too late or far behind in time or season.

  • 철이 겹다.
  • 아침 때가 겹다.
  • 김장 때가 겹다.
  • 밤중이 겹다.
  • 해가 겨워 저물다.
  • 게으른 승규는 대낮이 훨씬 겨워서야 겨우 잠자리에서 일어났다.
  • 아이는 늦은 아침때가 겨운 뒤에야 어머니가 집을 나섰음을 알게 되었다.
  • 가: 어제 지수는 언제 집에 들어왔어?
    나: 한밤중이 겨워서 들어왔더라고.
Sentence
1이 겹다

Send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