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Pronunciación
[입듣기]
Uso
입이[이비듣기], 입도[입또듣기], 입만[임만듣기]
Categoría gramatical
「명사」 Sustantivo

1. boca

음식을 먹고 소리를 내는 기관으로 입술에서 목구멍까지의 부분.

Parte que abarca desde los labios hasta la garganta, siendo el órgano que emite sonido e ingiere alimentos.

  • 냄새.
  • 이 마르다.
  • 이 크다.
  • 을 다물다.
  • 을 벌리다.
  • 피로가 쌓이면 에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 할아버지는 에 음식을 가득 넣고 우물우물 씹으셨다.
  • 엄마가 숟가락에 음식을 뜨자 아기가 을 크게 벌려 받아먹었다.
  • 가: 스테이크 맛있지?
    나: 응. 에 들어가자마자 살살 녹는다.

Multimedia 1

  • 입

2. labios

사람의 입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붉고 부드러운 살.

Piel suave y rojiza que rodea la boca de una persona.

  • 이 부르트다.
  • 이 빨갛다.
  • 이 터지다.
  • 이 튀어나오다.
  • 이 트다.
  • 겨울에는 건조해서 이 자주 튼다.
  • 남자 친구는 내 이마에 을 맞추고 버스에 올라탔다.
  • 지수는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을 만지작거리면서 멍하니 앉아 있었다.
  • 가: 너 이 꼭 쥐 잡아 먹은 것 같다.
    나: 내 이 그렇게 빨개?
Ver más
Sinónimo
입술

Multimedia 1

  • 입술

    입술

3. (No hay expresión equivalente)

음식을 먹는 사람의 수.

Número de personas que comen la comida.

  • 이 늘다.
  • 이 많다.
  • 이 줄다.
  • 을 덜다.
  • 삼촌이 함께 살게 되면서 이 하나 더 늘었다.
  • 우리 집은 이 많아서 엄마가 음식을 많이 하신다.
  • 가: 할머니, 더 드세요.
    나: 됐다. 나라도 을 덜어야지.

4. (No hay expresión equivalente)

(비유적으로) 사람이 하는 말.

(FIGURADO) Habla de una persona.

  • 이 거칠다.
  • 이 걸다.
  • 이 험하다.
  • 을 나불거리다.
  • 으로 가르치다.
  • 유민이는 으로만 떠들고 하는 일이 없는 걸로 유명하다.
  • 우리 누나는 말을 잘해서 도저히 으로는 당해 낼 수가 없다.
  • 가: 욕 좀 하지 마.
    나: 미안. 내 이 좀 걸잖아.

5. cucharada

한 번에 먹을 만한 음식물의 양을 세는 말.

Palabra para contar la cantidad de alimento que se puede comer de una vez.

  • 두세 먹다.
  • 받아먹다.
  • 베어 물다.
  • 깨물다.
  • 에 털어넣다.
  • 이모는 다이어트를 한다면서 음식을 두세 입 덜어서 천천히 먹었다.
  • 오빠는 간병인이 떠 주는 죽을 서너 받아먹더니 고개를 돌렸다.
  • 가: 나 한 만 주라.
    나: 정말 딱 한 만 먹어야 돼.

Referencia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Enviar mensaje

Proverbio-Modismo 43

Modismo
입 밖에 내다

sacar fuera de la boca

속마음이나 비밀을 말하다.

Decir un secreto o sentimiento interno.

  • 지수는 싫다고 하고 싶었지만 그 말을 입 밖에 내지 못했다.
  • 가: 이 일에 대해서는 절대로 입 밖에 내서는 안 돼.
    나: 네, 저만 알고 있을게요.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입 밖에 내다
Consultar estructura oracional
'2에 대하여'로도 쓴다.
Modismo
입(을) 다물다

callar la boca

하던 말을 그치거나 비밀을 지키기 위해 말을 하지 않다.

No hablar para guardar un secreto o parar lo que se estaba diciendo.

  • 이 교수는 학생을 폭행한 사실에 대해서 끝내 입을 다물었다.
  • 가: 너 입 다물어.
    나: 내가 뭘 어쨌다고 말도 못 하게 하고 그래?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을) 다물다
Modismo
입(을) 막다

tapar la boca

듣기 싫은 말이나 자기에게 불리한 말을 하지 못하게 하다.

No dejar hablar lo que es inconveniente para uno o no quiere escuchar.

  • 언니는 엄마가 아끼는 그릇을 깨더니 내 입을 막으려고 용돈을 줬다.
  • 사장은 회사의 어려운 상황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도록 직원들의 입을 막았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의 입(을) 막다
Modismo
입(을) 맞추다

1. ajustar la boca

여러 사람이 똑같이 말하기로 약속하다.

Comprometerse entre varias personas a decir lo mismo.

  • 오빠와 나는 아버지에게 성적표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입을 맞추기로 했다.
  • 가: 이번 일은 우리가 같이 입을 맞춰야 돼요.
    나: 그래요. 우리는 아무것도 모른다고 합시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와) 입(을) 맞추다
Consultar estructura oracional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2. ajustar la boca

키스를 하다.

Besar.

  • 신랑은 신부에게 가만히 입을 맞추었다.
  • 승규는 우연히 지수가 남자 친구와 입을 맞추는 것을 보았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에게 입(을) 맞추다, 1이 (2와) 입(을) 맞추다
Consultar estructura oracional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온다.
Modismo
입(을) 모으다

juntar la boca

여러 사람이 어떤 일에 대해 똑같이 말하다.

Decir lo mismo sobre un hecho entre varias personas.

  • 학생들은 강 교수님의 수업이 가장 재미있고 유익하다고 입을 모았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고 입(을) 모으다
Modismo
입(을) 씻다[닦다]

lavar [limpiar] la boca

혼자서 이익을 챙기고 모른 척하다.

Disimular que no pasó nada pese haberse apropiado solo de las ganancias.

  • 가: 사장님이 이번 일이 성사되면 보너스를 준다고 했는데 아무 말이 없네.
    나: 꽤 큰돈을 벌었을 텐데 설마 싹 입을 닦지는 않겠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을 입(을) 씻다[닦다]
Modismo
입만 살다

tener viva solo la boca

행동은 하지 않으면서 말만 잘하다.

Solo habla bien sin mostrar en acciones.

  • 가: 걱정하지 마세요. 제가 돈 많이 벌어서 우리 가족 모두 책임질 거예요.
    나: 입만 살아 가지고 말은 그럴듯하게 하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만 살다
Modismo
입만 아프다

doler solo la boca

아무리 말을 해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받아들이지 않다.

No acepta o no comprende aunque se repita muchas veces.

  • 가: 여보, 지수 여행 못 가게 얘기 좀 해요.
    나: 말하면 뭐해. 어차피 제 마음대로 할 건데 입만 아프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만 아프다
Modismo
입에 거미줄 치다

tener tela de araña en la boca

먹을 것이 없어서 굶다.

Pasar hambre por no tener qué comer.

  • 아버지는 생계를 걱정하는 어머니에게 아무리 그래도 입에 거미줄을 치는 법은 없다고 하셨다.
  • 가: 과장님, 회사가 망하면 앞으로 뭐 먹고 살아요?
    나: 뭐 먹고 살긴. 입에 거미줄 치기 전에 뭐라도 일을 찾아야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거미줄 치다
Modismo
입에 게거품을[거품을] 물다

morder espuma en la boca

몹시 화가 나서 흥분하여 큰 소리로 말하다.

Hablar en tono alto por excitarse al estar muy enojado.

  • 젊은 청년은 어른에게 대든다고 야단을 치는 노인에게 입에 게거품을 물고 대들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게거품을[거품을] 물다
Modismo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1. andar [vivir] colgando en la boca

어떤 말을 자주 사용하거나 계속 반복하다.

Repetir o utilizar frecuentemente una palabra.

  • 우리 언니는 일이 많아서 항상 바쁘다는 말을 입에 달고 다닌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2. andar [vivir] colgando en la boca

어떤 음식을 거의 매일 먹다.

Comer casi todos los días cierta comida.

  • 삼촌은 술을 입에 달고 살더니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다.
  • 가: 초콜릿 좀 드실래요?
    나: 또 초콜릿이니? 아주 입에 달고 다니는구나.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입에 달고 다니다[살다]
Modismo
입에 달라붙다

pegarse en la boca

음식이 아주 맛있다.

Ser muy rica la comida.

  • 아빠는 김치가 입에 달라붙는다면서 밥 한 그릇을 금새 비우셨다.
  • 가: 승규 엄마가 만든 음식 먹어 봤어?
    나: 응, 음식이 아주 입에 짝짝 달라붙는 게 요리 솜씨가 보통이 아니신 것 같아.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달라붙다
Modismo
입에 담다

llenarlo en la boca

입 밖에 내어 말을 하다.

Sacar la palabra fuera de la boca.

  • 버스 기사는 술에 취해 시비를 거는 승객과 입에 담을 수 없는 욕을 하며 싸웠다.
  • 가: 김 부장님이 회사 돈을 빼돌리고 있대.
    나: 그런 말은 두 번 다시 입에 담지도 마.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입에 담다
Modismo
입에 대다

acercarse en la boca

음식을 먹거나 마시다.

Comer o beber un alimento.

  • 아이는 심한 감기 몸살로 물조차 입에 대지 못했다.
  • 남편은 새해부터 술을 입에 대지 않겠다고 다짐을 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입에 대다
Modismo
입에 발린 소리

sonido extendido en la boca

마음에 없이 거짓으로 하는 말.

Comentario que se hace de mentira, sin sentimiento.

  • 지수는 입에 발린 소리를 하지 않고 솔직하게 자기 생각을 말한다.
  • 가: 나는 세상에서 네가 제일 좋아. 너도 알지?
    나: 입에 발린 소리 좀 그만해.
Modismo
입에 붙다

adherise en la boca

자주 말하여 습관이 되다.

Hacerse costumbre por decir algo seguido.

  • 나는 바쁘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나도 모르게 나온다.
  • 지수는 돈이 없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돈이 있어도 없다고 한다.
  • 가: 학교에 다니기 싫다는 말이 입에 붙어서 큰일이야.
    나: 그래. 너 하루도 그 말을 안 하는 날이 없는 것 같더라.
Estructura oracional
1이 2가 입에 붙다
Modismo
(누구) 입에 붙이다

adherirlo en la boca (de alguien)

다른 사람과 음식을 나누어 먹다.

Compartir la comida con otra persona.

  • 가: 치킨 한 마리 사 갈까?
    나: 세 마리는 사야지. 어른이 열 명인데 한 마리 가지고 누구 입에 붙여?
  • 가: 얘들아, 딸기 좀 먹을래?
    나: 너 먹어. 몇 개 안 돼서 입에 붙이고 말고 할 것도 없네.
Estructura oracional
1이 2를 (누구) 입에 붙이다
Modismo
입에 오르내리다

subir y bajar de la boca

다른 사람들의 이야깃거리가 되다.

Ser objeto de charla de otras personas.

  • 연예인들의 사생활은 항상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마련이다.
  • 유민이는 독특한 외모와 옷차림으로 매일 친구들의 입에 오르내렸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의 입에 오르내리다
Modismo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1. poner un candando en la boca

말을 하지 않다.

No hablar.

  • 어머니는 아버지의 병에 대해 입에 자물쇠를 채우셨다.
  • 범인은 입에 자물쇠를 채운 것처럼 아무 말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2. poner un candando en la boca

어떤 일에 대하여 말을 하지 못하게 하다.

No dejar hablar sobre un hecho.

  • 교장은 교사들에게 폭행 사건이 소문나지 않게 학생들 입에 자물쇠를 단단히 채우라고 했다.
  • 가: 다른 데 가서 얘기하지 못하게 자네 부인 입에 자물쇠 단단히 채우게.
    나: 걱정하지 마. 내 아내가 말은 많아도 비밀을 잘 지켜.
Estructura oracional
1이 2의 입에 자물쇠를 채우다
Modismo
입에 침이 마르다

secarse la saliva de la boca

다른 사람을 칭찬하거나 자랑하기 위하여 말을 많이 하다.

Hablar mucho para felicitar o alardear a otra persona.

  • 선생님들은 지수의 성실함에 대해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을 하셨다.
  • 고모는 사촌 오빠가 좋은 회사에 들어가게 됐다고 입에 침이 마르게 자랑을 했다.
  • 가: 정말 우리 딸 같은 효녀가 어디에 또 있겠어요.
    나: 아이구, 딸 자랑하느라고 입에 침이 마르네.
Referencia
주로 '입에 침이 마르게', '입에 침이 마르도록'으로 쓴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침이 마르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이 닳다, 입이 마르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Modismo
입에 풀칠하다

engomar la boca

매우 가난하게 살다.

Vivir muy pobre.

  • 할머니는 빈 병과 신문을 모아 번 돈으로 겨우 입에 풀칠만 하고 산다.
  • 남편이 벌어 오는 돈이 너무 적어서 애들 교육은 커녕 입에 풀칠하기도 어렵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에 풀칠하다
Modismo
입을 딱 벌리다

abrir grande la boca

매우 놀라워하거나 어이없어 하다.

Estar atónito o muy sorprendido.

  • 친구들은 내가 주식으로 일 년만에 10억을 벌었다는 말에 입을 딱 벌렸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에 입을 딱벌리다
Modismo
입을 봉하다

1. sellar la boca

말을 하지 않다.

No hablar.

  • 할머니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꼭 필요한 말만 하고 입을 봉하고 사셨다.
  • 가: 너 그렇게 입을 봉하고 있을 거야?
    나: 아무 말도 하기 싫다고 했잖아.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을 봉하다

2. sellar la boca

어떤 일에 대하여 말하지 못하게 하다.

No dejar hablar sobre un hecho.

  • 담배를 피우다 들킨 아버지는 내 입을 봉하기 위해 용돈을 주셨다.
  • 가: 아직 결정된 일이 아니니까 직원들의 입을 봉해 주세요.
    나: 네, 어디 가서 함부로 얘기하지 않게 단속하겠습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2의 입을 봉하다
Modismo
입의 혀 같다

parecer lengua de la boca

남의 마음을 매우 잘 헤아려 그대로 해 주다.

Hacer caso a la otra persona al comprenderla muy bien.

  • 지수는 입의 혀 같이 동아리 선배의 말을 잘 듣는다.
  • 가: 과장님은 너무 김 대리만 좋아하는 거 같지 않아?
    나: 입의 혀 같이 과장님 마음에 쏙 들게 일하는데 당연히 좋아하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의 혀 같다
Modismo
입이 가볍다

tener boca ligera

말이 많고 비밀을 잘 지키지 않다.

No guardar bien un secreto y hablar mucho.

  • 입이 가벼운 누나는 한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얘기를 한다.
  • 가: 너는 입이 너무 가벼워서 큰일이야.
    나: 난 다른 사람들도 다 아는 줄 알고 얘기했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가볍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이 무겁다, 입이 싸다
Modismo
입이 간지럽다

picar la boca

어떤 이야기나 비밀을 몹시 말하고 싶다.

Tener muchas ganas de contar un secreto o alguna historia.

  • 이 대리는 입이 간지러워서 도저히 못 참겠다면서 동료들에게 인사 이동에 대해 얘기해 주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간지럽다
Modismo
입이 걸다

colgar la boca

말을 거칠고 상스럽게 하다.

Hablar de manera grosera.

  • 식당 주인은 욕을 빼고는 말이 되지 않을 만큼 입이 걸었다.
  • 남자는 입이 너무 걸어서 도무지 말 상대를 할 수가 없었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걸다
Modismo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다

romperse la boca hasta debajo de la oreja

매우 기뻐서 입을 크게 벌리고 웃다.

Reír abriendo grande la boca por estar muy feliz.

  • 동생은 아버지에게 뜻하지 않은 용돈을 받고 입이 귀밑까지 찢어졌다.
  • 가: 나 전교에서 일등해서 엄마한테 컴퓨터 선물 받았다.
    나: 아주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는구나.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귀밑까지 찢어지다
Modismo
입이 달다

tener la boca dulce

입맛이 돌고 음식이 맛있다.

Tener apetito y disfrutar de la comida.

  • 할머니는 입이 달다고 하면서 밥을 맛있게 드셨다.
  • 가: 너 요즘 진짜 잘 먹는다.
    나: 입이 달아서 뭘 먹어도 맛있거든.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달다
Modismo
입이 닳다

gastarse la boca

같은 말을 여러 번 되풀이해서 하다.

Repetir varias veces la misma palabra.

  • 선생님은 학생의 본분이 공부라고 입이 닳게 강조하셨다.
  • 가: 엄마, 나 감기에 걸린 것 같아.
    나: 그러게 엄마가 옷 따뜻하게 입고 다니라고 입이 닳도록 말을 했잖아.
Referencia
주로 '입이 닳게', '입이 닳도록'으로 쓴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닳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에 침이 마르다, 입이 마르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Modismo
입이 떨어지다

caerse la boca

말을 하기 시작하다.

Empezar a hablar.

  • 일주일 동안 말을 하지 않던 동생이 드디어 입이 떨어졌다.
  • 가: 용의자는 입이 좀 떨어졌어?
    나: 네. 조금 전부터 대답을 하기 시작했어요.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떨어지다
Palabra de referencia
말문이 떨어지다
Modismo
입이 마르다

secarse la boca

같은 말을 여러 번 되풀이해서 하다.

Repetir varias veces la misma palabra.

  • 어머니는 의사가 된 오빠 자랑을 하느라 입이 마를 지경이다.
  • 가: 선배님, 보고서 파일이 갑자기 안 열려요.
    나: 그러니까 내가 다른 데에 저장을 해 두라고 입이 마르게 얘기했잖아.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마르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에 침이 마르다, 입이 닳다, 침이 마르다, 혀가 닳다
Modismo
입이 무겁다

pesarse la boca

말이 많지 않고 비밀을 잘 지키다.

Guardar bien un secreto y no hablar mucho.

  • 김 과장은 입이 무거워서 뭐든 믿고 얘기할 수 있다.
  • 가: 이 얘기는 회사 기밀이니까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게.
    나: 제가 입이 무거우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무겁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이 가볍다, 입이 싸다
Modismo
입이 (딱) 벌어지다

abrirse grande la boca

매우 놀라거나 좋아하다.

Sorprender mucho o gustarle algo.

  • 지수는 평소에 갖고 싶어 하던 인형을 받고 입이 벌어졌다.
  • 친구들은 내 연봉이 2억이라는 말에 입이 딱 벌어지는 눈치였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딱) 벌어지다
Modismo
입이 심심하다

aburrirse la boca

무엇을 먹고 싶거나 말하고 싶다.

Querer decir o comer algo.

  • 언니는 입이 심심해서 죽겠다면서 내 방에 들어와 이런저런 얘기를 했다.
  • 가: 우리 오징어 구워 먹자.
    나: 너 또 입이 심심하구나?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심심하다
Modismo
입이 싸다

tener boca barata

말이 많고 비밀을 잘 지키지 않다.

No guardar bien un secreto y hablar mucho.

  • 언니는 입이 싸서 잠시도 참지 못하고 비밀을 다 말해 버린다.
  • 가: 유민이가 다른 애들한테 내 남자 친구 얘기를 해 버렸어.
    나: 걔 원래 입이 싸잖아.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싸다
Palabra de referencia
입이 가볍다, 입이 무겁다
Modismo
입이 쓰다

1. tener boca amarga

어떤 일이나 말이 마음에 안 들어 기분이 좋지 않다.

No estar en buen estado de ánimo porque no le gusta un trabajo o un comentario.

  • 노인은 국민들의 생활은 신경 쓰지 않고 다른 나라를 돕겠다는 정부를 보면서 입이 썼다.
  • 가: 능력이 안 되면 포기해야 되는 거 아니야?
    나: 네가 그렇게 말을 하다니 정말 입이 쓰다.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쓰다

2. tener boca amarga

몸이 피곤하거나 아파서 입맛이 없거나 맛을 못 느끼다.

No sentir sabor o tener apetito por cansancio o un dolor corporal.

  • 요즘 일이 많아서 그런지 입이 써서 음식을 통 먹지 못한다.
  • 가: 어머니, 죽이라도 좀 드세요.
    나: 입이 써서 먹고 싶지가 않구나.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쓰다
Modismo
입이 짧다

tener boca corta

못 먹거나 싫어하는 음식이 많고 적게 먹다.

Tener mucha comida que no puede tolerar o detesta y comer poco.

  • 지수는 입이 짧아서 밥하고 몇 가지 반찬만 겨우 먹는다.
  • 가: 제가 고기하고 해산물을 잘 못 먹어요.
    나: 그렇게 입이 짧으니까 살이 안 찌지.
Estructura oracional
1이 입이 짧다
Proverbio
입에 맞는 떡

tteok que sabe bien en la boca

마음에 드는 일이나 물건.

Hecho u objeto que gusta.

  • 가: 이 집은 너무 좁고 이 집은 너무 비싸서 싫어요.
    나: 적당히 골라야지 입에 맞는 떡이 어디에 있어?
  • 가: 일도 재미있고 월급도 많이 주는 회사에 다니고 싶어요.
    나: 그렇게 입에 맞는 떡을 찾기가 쉽지 않을걸.
Proverbio
입에 쓴 약이 몸에 좋다

remedio que sabe amargo en la boca es bueno para el cuerpo

다른 사람의 충고나 비판이 그 자리에서는 듣기 싫지만 그 뜻을 잘 생각해 보면 도움이 된다는 말.

Expresión que indica que si bien a nadie le gusta escuchar consejos o críticas de otra persona en ese lugar, si uno piensa bien puede serle de ayuda.

  • 가: 어른들은 왜 만날 듣기 싫게 잔소리를 하는 거야?
    나: 입에 쓴 약이 몸에 좋은 법이야. 그게 지금은 잔소리로 들려도 다 너 위해서 하는 말이야.
Palabra de referencia
쓴 약이 몸에도 좋다
Proverbio
입에서 신물이 난다

salir bilis de la boca

무엇이 몹시 싫고 지겹다.

Odiar mucho y estar harto.

  • 아버지는 일찍 다니라는 말을 입에서 신물이 나도록 하셨다.
  • 가: 자장면 시켜 먹을까?
    나: 매일 먹었더니 이제 듣기만 해도 입에서 신물이 난다.
Palabra de referencia
이에 신물이 돈다[난다]
Proverbio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해라[하랬다]

habla [dije que hables] correctamente las cosas aunque tengas la boca torcida

어떤 상황에서든지 솔직한 생각이나 사실을 말해야 한다는 말.

Expresión que indica que uno siempre tiene que decir la verdad y hablar con sinceridad en toda circunstancia.

  • 가: 네가 내 책 가져갔잖아?
    나: 입은 비뚤어져도 말은 바로 하랬다고 그 책은 네가 빌려준 거지 내가 가져갔니?
Proverbio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다

no hay nada que decir que tenga diez bocas

잘못이 분명하게 밝혀져서 변명도 할 수 없다.

No poder dar excusas al esclarecerse su culpabilidad.

  • 바람을 피우다 들킨 김 대리는 아내에게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었다.
  • 가: 어떻게 된 일이야? 뭐라고 변명이라도 좀 해 봐.
    나: 정말 죄송합니다.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습니다.
Forma en que se desea ver
Mi historial de búsque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