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2 3 4 5 6 7 8 9 0
Back
Space . Close

알다
発音
[알ː다듣기]
活用形
아는[아ː는], 알아[아라], 아니[아ː니], 압니다[암ː니다]
派生語
알리다
品詞
「동사」 動詞

1. しる【知る】。わかる【分かる】。りかいする【理解する】

교육이나 경험, 생각 등을 통해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보 또는 지식을 갖추다.

教育・経験・思考などを通じ、事物や状況への情報または知識を備える。

  • 가치를 알다.
  • 공식을 알다.
  • 글자를 알다.
  • 노래를 알다.
  • 때를 알다.
  • 뜻을 알다.
  • 방법을 알다.
  • 비밀을 알다.
  • 사실을 알다.
  • 사정을 알다.
  • 소식을 알다.
  • 속셈을 알다.
  • 실상을 알다.
  • 음악을 알다.
  • 역사를 알다.
  • 이유를 알다.
  • 전화번호를 알다.
  • 정답을 알다.
  • 정보를 알다.
  • 지리를 알다.
  • 진리를 알다.
  • 형편을 알다.
  • 처음으로 알다.
  • 똑똑히 알다.
  • 속속들이 알다.
  • 어렴풋이 알다.
  • 익히 알다.
  • 자세히 알다.
  • 정확히 알다.
  • 확실히 알다.
  • 환히 알다.
  • 훤히 알다.
  •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어려운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셨다.
  • 민준이는 그 수학 문제의 답을 아는 듯이 막힘없이 척척 풀었다.
  • 직장 동료는 자기가 요즘 얼마나 바쁜지 알지 못하고 일을 시킨다며 투덜대었다.
  • 가: 이곳에서 시청으로 가는 길을 알고 있니?
    나: 응, 여기에서 버스를 타고 세 정거장을 가면 돼.
  • 가: 지금 몇 시인지 아니?
    나: 응, 지금은 오후 한 시 정각이야.
文型
1이 2를 알다
文型参考
'2에 대하여'로도 쓴다.

2. わかる【分かる】。さとる【悟る】。きづく【気づく】。にんしきする【認識する】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의식이나 감각으로 깨닫거나 느끼다.

ある事実や状況について、意識や感覚で分かったり感じたりする。

  • 멋을 알다.
  • 음식 맛을 알다.
  • 인생을 알다.
  • 자기 분수를 알다.
  • 잘못을 알다.
  • 본능적으로 알다.
  • 분위기로 알다.
  • 육감으로 알다.
  • 직감적으로 알다.
  • 밖에 나와 보니 날씨가 추운 것을 알겠다.
  • 범죄자가 자신의 죄를 알고서 깊이 뉘우치고 있다.
  • 땅에 고인 빗물을 보니 어젯밤에 비가 많이 내렸음을 알겠다.
  • 민준이는 방에 불이 켜져 있는 것을 보고 누군가가 집에 있음을 알았다.
  • 가: 지수가 집에 간다고 인사하는 걸 왜 안 받아 줘?
    나: 지수가 갔어? 일에 집중하느라 지수가 가는 것도 알지 못했어.
文型
1이 2를 알다
文型参考
'2에 대하여'로도 쓴다.

3. しる【知る】。かんじる【感じる】

어떤 심리적인 상태를 마음속으로 깨닫거나 느끼다.

ある心理的な状態を心の中で悟ったり感じたりする。

  • 고마움을 알다.
  • 고통을 알다.
  • 두려움을 알다.
  • 마음을 알다.
  • 무서움을 알다.
  • 부끄러움을 알다.
  • 사랑을 알다.
  • 수치를 알다.
  • 아픔을 알다.
  • 은혜를 알다.
  • 창피함을 알다.
  • 진정으로 알다.
  • 잘못을 한 아이들이 창피함을 알고서 고개를 푹 숙였다.
  • 은혜를 아는 학생들이 선생님께 정성이 담긴 감사 편지를 썼다.
  • 아저씨는 돈 없이 자라서 가난의 아픔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 가: 자식을 길러 보니 부모님의 마음을 알겠지요?
    나: 네, 부모가 되어 보니 부모님이 나를 얼마나 사랑하셨는지가 느껴지네요.
  • 가: 부끄러운 것을 아는 애가 어떻게 그런 짓을 할 수 있어?
    나: 죄송해요. 다시는 이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게요.
文型
1이 2를 알다
文型参考
'2에 대하여'로도 쓴다.

4. しる【知る】。わきまえる【弁える】

어떤 일을 어떻게 할지 스스로 정하거나 판단하다.

ある事をどのようにするかを自ら決めたり判断したりする。

  • 알아서 결정하다.
  • 알아서 다녀오다.
  • 알아서 사용하다.
  • 알아서 챙기다.
  • 알아서 처리하다.
  • 알아서 척척 하다.
  • 알아서 행동하다.
  • 이 식당은 손님들이 각자 알아서 물과 반찬을 떠다 먹는다.
  • 어리기만 하던 동생이 자기 준비물을 알아서 챙길 만큼 많이 자랐다.
  • 이 프로그램은 숫자를 입력하기만 하면 알아서 계산을 해 준다.
  • 가: 이제 너도 다 컸으니 네 일은 알아서 하도록 해라.
    나: 네, 아버지. 이제 제 일은 저 스스로 결정하겠습니다.
  • 가: 우리 애는 제가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숙제하고 방 청소를 해요.
    나: 아이가 어린데도 자립심을 가지고 있군요.

参考 주로 '알아서'로 쓴다.

文型
1이 2를 알다
文型参考
'2에 대하여'로도 쓴다.

5. できる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

ある事を行うことのできる能力や技を持っている。

  • 글자를 쓸 줄 알다.
  • 기다릴 줄 알다.
  • 기타를 칠 줄 알다.
  • 놀 줄 알다.
  • 들을 줄 알다.
  • 수영할 줄 알다.
  • 연주할 줄 알다.
  • 요리할 줄 알다.
  • 운전을 할 줄 알다.
  • 읽을 줄 알다.
  • 즐길 줄 알다.
  • 참을 줄 알다.
  • 피아노를 칠 줄 아는 지수는 웬만한 노래는 반주할 수 있다.
  • 언니는 오랜 자취 생활을 해서 여러 가지 요리를 할 줄 안다.
  • 가: 일본어를 할 줄 아세요?
    나: 네, 일본어로 간단한 의사소통은 할 수 있어요.
  • 가: 어머, 아기가 글자를 읽을 줄 아네요.
    나: 네, 우리 애가 한글을 뗐거든요.

参考 주로 '-을 줄 알다'로 쓴다.

文型
1이 2를 알다
対義語
모르다

6. しる【知る】

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하거나 관심을 가지다.

ある事にかかわって参加したり関心を持ったりする。

  • 바 아니다.
  • 김 팀장은 자기 바 아니라며 이 일을 책임지지 않으려고 했다.
  • 그 일은 내가 바 아니니 네가 하고 싶은 대로 처리해라.
  • 가: 우리 팀 과제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상관없다는 뜻이야?
    나: 내 바 아냐. 난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을래.

参考 주로 '알 바 아니다'로 쓴다.

文型
1이 2를 알다

7. しる【知る】。けいけんする【経験する】

잘 모르던 대상의 좋은 점을 알게 되어 가까이하려 하다.

よく知らなかった対象の良い点に気づき、近づこうとする。

  • 남자를 알다.
  • 노름을 알다.
  • 담배를 알다.
  • 돈맛을 알다.
  • 돈을 알다.
  • 세상맛을 알다.
  • 세상을 알다.
  • 술을 알다.
  • 여자를 알다.
  • 일찍 알다.
  • 아저씨는 처음 술을 알고 나서부터 지금까지 쭉 술을 즐겼다고 했다.
  • 친구는 어렸을 때부터 사회생활을 해서 남들보다 사회를 빨리 알게 되었다.
  • 가: 우리 오빠는 돈맛을 뒤 늘 큰돈을 벌 궁리만 해.
    나: 어쩐지 너희 오빠가 나한테 어디 돈이 벌릴 만한 사업이 없냐고 물어보더라.
文型
1이 2를 알다

8. しる【知る】。たいせつにおもう【大切に思う】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소중히 생각하다.

ある人や物を大切に思う。

  • 가족만 알다.
  • 공부만 알다.
  • 돈만 알다.
  • 일만 알다.
  • 자기만 알다.
  • 그 모범생은 공부만 알고 다른 놀이는 할 줄 모르는 학생이었다.
  • 김 사장은 회사 일만 알았지 가족을 돌보는 일에는 어떤 신경도 쓰지 않았다.
  • 가: 저 사람은 돈만 알아.
    나: 응, 저 사람은 늘 돈 벌 생각만 하더라고.

参考 주로 '~만 알다'로 쓴다.

文型
1이 2를 알다

9. わかる【分かる】。かしこまる。うけたまわる【承る】

상대방의 어떤 명령이나 요청에 대해 그대로 하겠다는 동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相手の命令や要請に対し、その通りにするという同意を表す語。

  • 아이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알겠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거렸다.
  • 가: 짐이 너무 무거운데 좀 들어 주세요.
    나: 알았어요. 이리 주세요.
  • 가: 오늘은 가족 행사가 있으니 저녁에 일찍 오너라.
    나: 네, 엄마. 알겠어요.
  • 가: 이 책을 지수에게 전달해 줘.
    나: 알았어. 내가 책임지고 지수에게 이 책을 줄게.

参考 주로 '알겠다', '알았다'로 쓴다.

文型
1이 2를 알다

10. しりあう【知り合う】。つきあう【付き合う】

전에 본 적이 있거나, 사귐이 있어 친하게 지내다.

前に会ったことがあったり、付き合いがあったりして、仲良く過ごす。

  • 아는 체.
  • 알고 지내다.
  • 서로를 알다.
  • 얼굴을 알다.
  • 알다.
  • 이 친구는 동생의 소개로 알게 된 사람이다.
  • 모임에서 어떤 사람이 내게 아는 체를 하면서 인사했다.
  • 김 선생이 조금 무뚝뚝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매우 친절한 사람이다.
  • 가: 두 사람이 서로 아는 사이였어요?
    나: 네, 고등학교 동창이에요.
文型
1이 (2와) 알다, 1이 2를 알다
文型参考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오고 '2에 대하여'로도 쓴다.

11. おもう【思う】。かんがえる【考える】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그러하다고 여기거나 생각하다.

ある事物や人を判断したり思ったりする。

  • 돈을 제일로 알다.
  • 술을 물로 알다.
  • 자식을 전부로 알다.
  • 친구를 적으로 알다.
  • 바보로 알다.
  • 영웅으로 알다.
  • 우습게 알다.
  • 친구가 내 볼펜을 자기 것으로 잘못 알고서 가져가 버렸다.
  • 술에 취한 아저씨는 옆집이 자기 집인 줄 알고 대문을 열려고 했다.
  • 가: 너 이 문제를 풀 수 있어?
    나: 이게 얼마나 쉬운 문제인데. 너는 나를 바보로 아는 거야?
文型
1이 2를 3으로 알다, 1이 2를 3-고 알다

12. おもう【思う】。かんがえる【考える】

어떤 사실을 그러하다고 여기거나 생각하다.

ある事実を判断したり思ったりする。

  • 고백을 농담으로 알다.
  • 장난으로 알다.
  • 예쁘다고 알다.
  • 살아 있다고 알다.
  • 통과했다고 알다.
  • 감독은 자기가 이끄는 팀이 경기에서 우승할 줄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 동생은 형의 말을 거짓말로 알아서 좀처럼 믿으려고 하지 않았다.
  • 김 사장은 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난 뒤 계약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겠다고 말했다.
  • 가: 그 과목의 시험은 다음 주에 보는데 미리부터 공부하는 거야?
    나: 정말이야? 나는 이 과목의 시험이 내일인 줄로 알았어.
  • 가: 민준이가 공부는 안 하고 놀기만 하더니 결국 시험에 떨어졌대.
    나: 난 그 녀석이 일찌감치 시험에 떨어질 줄로 알았지.
文型
1이 2를 3으로 알다, 1이 2를 3-고 알다

ご意見・お問い合わせ

慣用句・ことわざ 6

慣用句
알 게 뭐야[뭐나]

知ったことか。知ったものか

어떻게 되든지 상관이 없음을 뜻하는 말.

どうなろうが自分とは関係ないことを現す表現。

  • 가: 너희 반에서 전교 일등이 나왔다면서?
    나: 내가 일등을 한 것도 아닌데 알 게 뭐야.
慣用句
알게 모르게

知ってか知らずか。知らず知らず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自分も知らないうちに。

  • 짝꿍과 나는 알게 모르게 단짝 친구가 되어 있었다.
  • 처음 회사 생활을 시작한 유민이는 알게 모르게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慣用句
알다가도 모르다

分かったと思ったら分からなくなる

어떤 일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ある物事がなかなか理解できない。

  • 가: 여자 친구가 내게 화를 냈는데 왜 그러는지 정말 알다가도 모르겠어.
    나: 네가 그 애에게 실수한 것이 있는지 잘 한번 생각해 봐.
文型
1이 2를 알다가도 모르다
ことわざ
아는 것이 병[탈]

1. 知るが病

정확하지 못하거나 분명하지 않은 지식은 오히려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는 말.

正確でないか明確でない知識はかえって心配事になる恐れがある。

  • 가: 승규가 김 선배 일에 대해 아는 척 하다가 크게 실수를 했대.
    나: 아는 것이 병이라더니 딱 그 꼴이네.

2. 知るが病。知らぬが仏

아무것도 모르면 마음이 편하고 좋지만 무엇을 알고 있으면 그것 때문에 걱정이 생겨 오히려 좋지 않다는 말.

何も知らないと気楽でいいだろうが、何かを知ると、そのために心配が生じて良くないという意味。

  • 가: 어머니께서 형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 난 뒤부터 밤에 잠도 못 주무셔.
    나: 아는 게 탈이라던데 차라리 어머님이 모르시는 편이 더 나았겠다.
ことわざ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知っている道も尋ねて行けと言われる。念には念を入れる

잘 아는 일이라도 잘 확인하여 실수가 없게 하라는 말.

よく知っている物事でもきちんと確認して失敗がないようにしろという意味。

  • 가: 이건 내 전공 분야니까 문제없어.
    나: 그래도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고 다시 한 번 더 꼼꼼히 확인해 봐.
ことわざ
아는 놈 당하지 못한다

知っている者にはかなわない

일이나 상황을 잘 알고 덤비는 상대는 이길 수 없다.

物事や状況をよく知って、かかってくる相手にはかなわない。

  • 가: 언니가 처음부터 모든 걸 다 알고 따지는데 정말 어떤 변명도 못 하겠더라.
    나: 아는 놈 당하지 못한다고 하잖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