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아이콘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2 3 4 5 6 7 8 9 0
Back
Space . Close

-죠
品詞
「어미」 語尾

1. 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이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확인하며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話し手の考えでは聞き手がすでに知っていると判断し、それについて聞き手に確認を要求す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오늘 본 영화는 좀 지루했죠.
  • 며칠 뒤면 벚꽃이 활짝 피겠죠.
  • 우리 지난해 제주도에서 아주 즐거웠죠.
  • 가: 이 부침개 정말 맛있네.
    나: 당연하죠. 누가 만들었는데.

参考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2. 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이미 알고 있는 것을 다시 확인하듯이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すでに知っていることを改めて確認するように尋ね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오늘 날씨가 참 좋죠?
  • 하루 종일 일하느라 피곤하셨죠?
  • 요새 결혼 준비를 하느라 바쁘시죠?
  • 가: 제 여자 친구 정말 예쁘죠?
    나: 응. 네가 말한 대로 정말 미인이네.

参考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3. ますよ。ですよ。でしょう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자신에 대한 이야기나 자신의 생각을 친근하게 말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話し手が自分に関する話や自分の考えを親しみをこめて述べ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저희 아버지는 정말 따뜻하신 분이었죠.
  • 저와 승규는 오랜 친구라 서로를 잘 알죠.
  • 지금은 교사를 하고 있지만 제 어릴 적 꿈은 가수였죠.
  • 가: 주말에 뭐 했어요?
    나: 저는 집에서 책을 좀 봤죠. 언니는요?

参考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4. ますか。ですか。でしょうか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친근함을 나타내며 물을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話し手が聞き手に親しみを表明しながら尋ねる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지금 몇 시죠?
  • 이 사과는 얼마죠?
  • 승규는 요즘 어떻게 지내고 있죠?
  • 가: 아이가 참 예쁘네요. 아이가 몇 살이죠?
    나: 이제 세 살이에요.

参考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5. ましょう

(두루높임으로) 듣는 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함께 하기를 권유할 때 쓰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聞き手にある行動を一緒にしようと誘うのに用いる「終結語尾」。

  • 커피 한 잔 드시죠.
  • 비가 와요! 빨리 빨래를 걷죠!
  • 일찍 출발해야 되니 그만 일어나죠.
  • 가: 시간이 늦었으니 우리도 이만 돌아가죠.
    나: 그러자꾸나. 시간이 벌써 이렇게 되었네.

参考 동사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6. ればよかったです

(두루높임으로) 말하는 사람이 원했던 것을 말하며 원하는 대로 되지 않은 아쉬움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略待上称)話し手が願っていたことを述べながら、願い通りにならなくて残念だという意を表す「終結語尾」。

  • 그러니까 조금 일찍 일어나죠. 늦었잖아요.
  • 이렇게 갑자기 오시다니, 전화라도 하시고 오시죠.
  • 몸도 안 좋으신데 집에서 쉬시죠. 왜 무리하셨어요.
  • 가: 어제 과음했는지 속이 쓰려.
    나: 그러니까 적당히 마시죠.

参考 동사 뒤에 붙여 쓴다.

元の語
-지요

ご意見・お問い合わ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