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erkataan, kata-kata
1.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사람의 소리.
bunyi atau suara manusia yang merupakan ungkapan perasaan atau pikiran
- 말과 글.
- 말을 더듬다.
- 말을 듣다.
- 말이 나오다.
- 말이 느리다.
- 말이 빠르다.
- 감기에 걸려 목이 아파서 말이 잘 안 나온다.
- 누나는 다정한 말로 울고 있는 나를 위로해 주었다.
-
가: 야! 이리로 와 봐.
나: 뭐라고? 멀리 있어서 네 말이 잘 안 들려.
Lihat lebih banyak
2.
perkataan, kata-kata
2.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행동이나 태도.
tingkah laku atau gerakan yang mengungkapkan serta menyampaikan perasaan atau pikiran
- 묻는 말.
- 말이 거칠다.
- 말을 가르치다.
- 말을 배우다.
- 말을 하다.
- 목이 아파서 말을 하기가 쉽지 않다.
- 신세대는 기성세대와 말의 방식이 많이 다르다.
-
가: 묻는 말에 바르게 대답하시오.
나: 네, 알겠습니다.
3.
bahasa
3.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소리와 글자.
bunyi dan tulisan yang mengungkapkan perasaan atau pikiran
- 우리나라 말.
- 외국 말.
- 일본의 말.
- 말이 같다.
- 말이 다르다.
- 일본은 식민지 한국의 말을 없애려고 하였다.
- 말과 피부색이 달라도 모든 인간은 존엄하다.
-
가: 너는 외국 친구랑 어느 나라 말로 얘기하니?
나: 주로 영어로 이야기해.
4.
kata, kata-kata
4.
단어나 구나 문장.
kosakata atau kalimat
- 책 속의 말.
- 옛 성현의 말.
- 말을 배껴 쓰다.
- 말을 찾아보다.
- 멋진 말로 채우다.
- 이 사전에는 많은 말들이 실려 있다.
-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 나는 그녀에게 ‘사랑’이란 말은 쉽게 할 수가 없었다.
-
가: 지수야, 미안해.
나: 안 돼. 이번에는 ‘미안하다’는 말로 용서할 수 없어.
5.
kabar, desas-desus, kabar burung, cerita
5.
사건에 대한 이야기나 세상에 떠도는 소문.
cerita tentang sebuah kejadian atau gosip
- 퍼트린 말.
- 말이 많다.
- 말이 파다하다.
- 말이 퍼지다.
- 말을 지어내다.
- 물가가 곧 상승할 거라는 말이 있다.
- 전직 국회의원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는 말이 퍼지고 있다.
- 깊은 산 속에는 아직도 호랑이가 산다는 말이 있었다.
-
가: 김 부장의 승진에 대해 말이 많더라.
나: 응, 나도 소문 들었어.
6.
kata-kata, perkataan, omongan
6.
논리적이거나 이치에 맞는 이야기.
perkataan yang masuk akal atau memiliki nilai kebenaran
- 합리적인 말.
- 말이 되다.
- 맞는 말을 하다.
- 말에 맞다.
- 말로 설득하다.
- 이해가 잘 안 되니 말에 맞게 다시 설명해 보세요.
- 승규는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이야기를 친구에게 늘어놓았다.
-
가: 너는 그걸 말이라고 하는 거야?
나: 말도 안 되는 소리 하지 마.
7.
(Tiada Penjelasan Arti)
7.
다시 강조하거나 확인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kata yang menyatakan arti menekankan atau meyakinkan kembali
- 그만 좀 조용히 하란 말이야!
- 나보고 이제 그만 가란 말이냐?
- 어제 확실히 숙제를 다 했단 말입니다.
-
가: 학생은 열심히 공부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나: 네, 선생님.
Rujukan
'-으라는/-다는 말이다’로 쓴다.
8.
(Tiada Penjelasan Arti)
8.
괜찮거나 잘되었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kata yang menyatakan arti baik-baik saja atau berjalan dengan baik
- 어른이 있었기에 말이지 큰 사고가 날 뻔했다.
- 조금 일찍 나왔으니 말이지 하마터면 지각할 뻔했다.
- 마침 화장실이 근처에 있었으니 말이지 배가 아파 죽는 줄 알았다.
-
가: 지수가 반 대표로 달리기에서 일등을 했다며?
나: 응, 지수가 있었기에 말이지 우리 반에서 아무도 상을 못 받을 뻔했어.
Rujukan
'-으니/-기에 말이지'로 쓴다.
9.
(Tiada Penjelasan Arti)
9.
어떤 행위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탄식하는 말.
kata yang digunakan saat menggerutukan bahwa suatu tindakan tidak berlangsung dengan baik
- 도대체 사람 말을 들어야 말이지.
- 휴가를 가고 싶은데 할 일이 좀 줄어야 말이지.
- 결혼을 빨리 하고 싶은데 여자 친구가 있어야 말이지.
-
가: 왜 이렇게 늦었어?
나: 아무리 기다려도 택시가 와야 말이지.
Rujukan
'-어(아)야 말이지'로 쓴다.
10.
(Tiada Penjelasan Arti)
10.
앞의 대상을 강조하는 말.
kata yang menekankan subjek atau objek di depan
- 어제 산 선물 말이야.
- 누구긴 누구야, 그 사람 말이야.
- 네가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승규 말이니?
-
가: 돈 빨리 갚아라.
나: 무슨 돈?
-
가: 어제 네가 빌려 간 돈 말이야.
Rujukan
주로 '~ 말이냐', '~ 말이야'로 쓴다.
11.
(Tiada Penjelasan Arti)
11.
주의를 끌거나 문장을 끝낼 때 하는 말.
kata yang digunakan saat menarik perhatian sekitar atau menyelesaikan kalimat
- 그런데 말이죠.
- 하지만 말이야.
- 내가 말이지.
- 우리끼리라서 말인데.
-
가: 친구를 만났는데 말이야.
나: 응, 그런데?
Rujukan
주로 ‘말이야', '말이죠', '말이지', '말인데'로 쓴다.